“한우, 주기적 가격 등락…방법 없나?”
“한우, 주기적 가격 등락…방법 없나?”
  • 이상미 smlee@newsfarm.co.kr
  • 승인 2016.06.28 19: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월 도매가 2만 2599원…전년 동월 대비 22.5% 상승
번식농가 폐업이 주원인…한우가격 등락 자체도 ‘문제’

최근 한우 가격이 급등하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5월 한우 수급 안정을 위해 30개월 미만의 큰 수소(거세우)를 조기 출하하도록 유도해 단기적으로 한우의 출하물량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전국한우협회와 농협중앙회,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도 소비자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방편으로 지난달 23일부터 열흘간 전국 농축협 하나로마트 및 지역 매장, 한우영농조합법인 매장 등 300여개 소에서 한우고기 소비자가격 할인 행사를 실시했다.

가격 왜 오를까?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의 6월 한육우관측월보에 의하면 5월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22.5% 상승한 2만 2599원(지육kg), 1+등급은 2만 148원으로 21.9%, 1등급은 1만 8530원으로 23.6% 상승했다. 2~3등급 가격 또한 각각 1만 5918원, 1만 3633원으로 강세를 나타냈다. 이 같은 한우가격 급등 원인으로는 한우 사육과 도축 두수의 감소가 지목되고 있다.

GS&J 인스티튜트가 최근 발표한 한우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 5월 한우 도축두수는 암소가 전년 동월 대비 10.7%, 수소가 19.1% 감소해 총 도축두수는 전년 동월 대비 15.0% 적은 5만 3600두였다. 3월에 2세 이상 수소 사육두수가 전년 동기보다 20%나 적었으므로 도축두수도 그만큼 적을 수밖에 없어 도매가격 상승세가 지속돼 9~10월에는 2만원을 훨씬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 같은 가격강세에 따라 송아지 입식의향 고조로 5월 6~7개월령 암송아지 평균가격은 전년 동월(221만 원)보다 42.4% 상승한 315만 원으로 거래됐다. 수송아지 평균 가격은 전년 276만 원보다 37.9% 상승한 381만 원이었다.

사육 감소세는 지속

한우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KREI는 2017년 이후까지 사육 감소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반대의 전망을 내놨다. 일차적 원인은 소규모 번식 농가 수의 감소다. 한우농가는 대형농장을 갖고 있는 비육농가와 암소를 임신시켜 송아지를 기르는 번식농가로 나눠지는데, 비육농가는 번식농가로부터 송아지를 사 30개월 동안 사육하게 된다.

하지만 지난 2012년 한미FTA가 발효되면서 매년 15%씩 한우농가가 감소해 2008년도에 18만 3000호였던 것이 2016년에는 8만 8000호로 줄었다. 그런데 폐업한 농가의 대부분이 송아지를 생산하는 고령농가들로 나타나면서 송아지 생산기반이 무너져 수급회복이 어렵다는 진단이다.


한우 수급관리 정책 필요

이와 함께 한우가격이 큰 폭의 등락을 주기적으로 거듭하기 때문에 이를 체감한 한우농가들이 쉽사리 사육두수를 늘리지 않는 것도 또 다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경기회복, 수입육과 한우 분리 정책 등으로 인해 지난 2009년 한우가격이 급등하자, 농가들이 사육두수를 늘려 2012년에는 293만 마리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한우가격이 폭락하고 송아지 가격이 급락하자 정부는 한우암소감축장려금지원사업, 암소의 비육사육 전환 등으로 공급량을 줄였다.

그 결과 2014년 3월 271만 마리에서 2016년 동월 247만 마리로 사육두수가 떨어지면서 쇠고기 수요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공급량은 줄어들어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우협회 관계자는 “정부는 당장 가격이 높다고 해서 단기 정책을 남발하는데 급급하지 말고 중장기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며 “한우산업은 정책을 발동해도 가시적인 효과를 보려면 3년 이상이 걸린다. 그때 그때 상황에 따라 뒷북정책을 펼게 아니라 가격이 등락했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 비육농가와 번식우농가에 따라 맞춤 정책을 세워둬서 농가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줘야 만이 사육두수를 늘리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지난 2013년 한우수급조절협의회를 만들었지만 강제성이 없어 활동에 제약이 많다. 특히 한우산업에 문제가 생길 시 정책을 시행하는데 어떤 자금으로 뒷받침할 것인지 마련되지 않아 농민들에게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상미 기자 smlee@newsfar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