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정책 현장 중심 맞춤형으로 개선돼야”
“귀농·귀촌 정책 현장 중심 맞춤형으로 개선돼야”
  • 이은용 ley@newsfarm.co.kr
  • 승인 2017.07.11 21: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앙정부·지자체 정책 대응 강화 필요…부정요소↓
농경연, ‘귀농·귀촌과 농촌 복지’ 학술세미나
(한국농업신문=이은용 기자)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하고 부정적인 요인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대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1일 서울 엘타워컨벤션에서 ‘귀농·귀촌과 농촌 복지’ 학술세미나 발제를 통해 이 같이 주장했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발제에서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살펴보면 귀농·귀촌이 단순한 인구의 증가가 아니라 지역사회 생태계를 유지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면서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존 주민과 귀농·귀촌인의 갈등 해소, 협력 강화 등에 초점을 맞춘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농지 부족, 농지 규모화의 어려움 등에 관해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적 대응 강화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마상진 농경연 연구위원도 “다양한 재능과 전문성을 귀농·귀촌인이 지역사회에 잘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가장 큰 장애요인인 관련 정보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지자체 단위의 일자리 중개 및 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 사회적 경제 조직을 활성화시키는 것도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정섭 농경연 연구위원은 “귀농·귀촌과 관련된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정책들이 귀농‧귀촌인 개인에 대한 지원과 조력이라는 관점을 넘어서 농촌 지역공동체의 재조직화라는 사회적인 관점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은용 기자 ley@newsfar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