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경 경기도청 친환경농업과 식량팀장]“축산농가부터 조사료 재배 어떠세요”
[김상경 경기도청 친환경농업과 식량팀장]“축산농가부터 조사료 재배 어떠세요”
  • 이도현 dhlee@newsfarm.co.kr
  • 승인 2018.02.08 17: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사료 전환시 ha당 600만원 지원
경기도, 5199ha 감축 목표
벼농사를 겸업하고 있는 축산농가만 타작물로 조사료를 선택한다면 감축 목표 달성될 것
조사료 재배 시 고정직불금 100만원·조사료 400만원·사일리지 100만원 총 600만원 지원



(한국농업신문=이도현 기자)경기도 쌀 생산량은 지난해 기준 약 39만톤, 재배 면적은 7만8484ha로 전국 8개 권역 중 다섯 번째다. 경기도만 본다면 약 1200만 도민 소비량의 절반 수준으로 오히려 생산량이 부족한 수준이다. 하지만 국가 전체적으로 쌀 생산량이 소비량을 웃돌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올해부터 정부에서 쌀 생산조정제를 본격 추진한다. 경기도는 쌀 브랜드의 인지도가 타 지역보다 높아 타작물로 전환시키는데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김상경 경기도청 친환경농업과 식량작물팀장을 만나 타작물 재배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이를 위한 정책은 무엇인가.

정부에서도 다수확 품종을 수매와 보급 품종에서 제외하고 있다. 우리도 고품질 쌀 위주의 생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도는 전체 재배 면적의 8%, 5199ha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군을 순회하며 타작물 재배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농민들을 설득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오는 28일까지 타작물 사업 참여 농가를 모집하며 지난 2일까지 60농가 정도가 신청한 상태다.

-조사료 전환을 독려하던데.

특히 도는 타작물로 전환시 발생하는 과잉 생산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사료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조사료의 경우 20% 정도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사실 벼농사를 겸업하고 있는 축산농가만 타작물로 조사료를 선택한다면 감축 목표는 달성된다. 또 축산 분야의 경우 분뇨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조사료를 재배할 경우 벼농사보다 2배 이상의 액비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결국 2배의 분뇨를 더 소모할 수 있어 축분 처리 해소 부분에도 효과적이다. 현재 축산 관련 기관 및 단체의 협조를 구하고 있다.

-실질 농가 지원금은 얼만가.

작년까지 쌀을 재배했을 때 ha당 고정직불금 100만원, 변동직불금 210만원 총 31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었다. 올해는 고정직불금 100만원, 변동직불금 79만원 약 180만원 정도를 지원받는다. 타작물로 조사료를 재배 할경우에는 고정직불금 100만원, 조사료 400만원, 사일리지 지원 100만원 총 600만원을 지원받는다.

-현장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수도작은 고령농이 많으며 기계화율이 100%에 육박하고 있다. 더구나 타작물 재배 경험이 없는 농가의 마음을 돌리는 게 쉽지 않다. 또 여기에 판로 문제도 우려되고 있다.

축산과, 농업기술원 등 담당자들과 협의를 통해 축산농가와 연계 방안을 찾고 있다. 농기계 임대라든지 협조, 조사료 재배 기술, 수확 등 협업 체계도 구축하고 있다. 특히 농·축협에서 유통 경로를, 기술원에서 지역 적합 작목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결국 수매 계약제로 갈 것이라는 생각이다. 이를 위해 농가별 축종과 원하는 조사료 종류 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이런 협력 체계를 통해 문제점을 해소할 것이다.

-운영중인 협업 체계가 있다던데.

도에서는 관계기관들로 구성된 쌀 생산조정 추진단을 구성·운영하고 있다. 한 달 두 번 점검 회의를 실시해 운영 과정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고 있다. 실제 생산조정제도에도 의견이 많이 반영됐다. 특히 작목별 지원 단가 차등화와 지난해 자발적 생산조정제에 참여한 농가에 대한 지원 부분이 반영됐다.

현재 농업인·농업법인 등 농업 외 소득이 3700만원 이상일 경우 변동직불금을 수령할 수 없고 또 생산조정제 참여도 어렵다. 하지만 생산면적 감축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완화해 지원 대상에 포함되도록 정부와 협의 중이다.

-도의 계획은 어떠한가.

도에서는 현장 농민이 가장 원하는 농기계 분야에 대한 지원을 준비하고 있다. 타작물 수확을 위해 트랙터 부속 기계 등에 대한 지원이다. 또 논 농업 다양화 지원, 마을별 판촉 지원, 인센티브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중이다.

생산조정제를 참여하는게 쌀 생산농가를 위해 바람직한 방법이라는 생각이다. 단지화라든지 마을 별 권역화를 해서 제도에 참여하시면 농가소득도 유지될 것이다. 부수적으로 마을 특징이라던지 행사를 살릴 수 잇는 지원제도도 있으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장기적은 대책을 제안한다면.

일본은 변동직불금과 고정직불금이 폐지하고 쌀 생산 시책으로 사료용, 가공용 재배에 지원하고 있다. 우리도 이런 대책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생산조정제가 한시적을 2년 시행되지만 유사한 제도가 유지 시행되지 않을까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