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일자리·경제발전 문제 풀어낼 ‘열쇠’
스마트팜, 일자리·경제발전 문제 풀어낼 ‘열쇠’
  • 황보준엽 기자 hbjy@newsfarm.co.kr
  • 승인 2018.03.29 09: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업, 자동화 가능률↓…일자리 위협 적을 듯
부품 등 ‘표준화’ 스마트 팜 활성화 핵심 요인
지난 21일 열린 ICT 컨버전스 코리아 2018 참석자들이 발표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21일 열린 ICT 컨버전스 코리아 2018 참석자들이 발표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농업신문=황보준엽 기자)농업도 과학이다. 이제는 인력, 축력에서 의지하던 시대는 지나고 스마트한 농업의 시대가 왔다. 4차 산업기술혁명 시대가 도래하며 타 분야에서 ICT기술 도입을 최우선 과제로 삼자 농업계도 뒤쳐질 새라 ICT기술 개발에 뛰어들었다. 현재까지 개발돼 온 ICT기술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돼 각 분야 종사자의 관심을 모았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 및 한국통신학회 등이 주관한 ‘ICT 컨버전스 코리아 2018’스마트 코리아 실현을 위한 국내 최대의 지능정보 ICT융합 대제전이라는 주제로 THE-K호텔에서 지난 21, 22일 양일간 진행됐다.

 

이번 컨버전스에서는 스마트교통 스마트의료 스마트금융 스마트국방 등 각 분야 ICT활용 기술을 소개하는 발표가 이뤄졌다. 특히 둘째 날엔 스마트 팜·농업의 발표가 진행됐다. 발표장엔 자리를 가득 메울 만큼의 인원이 참석해 스마트 팜 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나타냈다.

 

“4차 산업 혁명시대를 맞아 데이터의 연결과 지능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팜은 농산업의 성장동력 및 농업의 국가적 혁신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경제발전에 전환점이 될 것

김상철 국립농업과학원 스마트팜개발과장은 농업혁신을 위한 한국형 스마트팜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생산혁명을 가능케 하고, 농작업 환경을 개선해 젊은 층을 농업·농촌으로 끌어들여 일자리 창출과 농촌고령화 문제 해결에 하나의 열쇠가 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상철 과장은 현재 스마트팜 기술이 도입이 활성화되면 농가의 노동력 부담이 획기적으로 감축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각 업체별 사용 기술 및 부품이 달라 후속조치가 어려워 확산을 위해서는 이 문제가 먼저 해소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현재 많은 업체들이 스마트 팜 업계에 뛰어들다 보니 업체마다 부품, 장비 등 모든 것이 달라 농가에선 어려움이 크다고 현장에서의 고충을 전하며 스마트 팜 부품-장비 표준화를 해야 스마트 팜이 성공을 거둘 수 있다고 해결책을 제시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최영찬 서울대 교수는 4차산업혁명 시기 농식품산업의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iot(사물인터넷), cloud(컴퓨터 네트워크 상에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 구조), 빅데이터, 모바일, AI기반의 초연결 산업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은 농업의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최영찬 교수는 분석했다. 이는 농업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을 용이하게 해 농업에 대한 가치있는 지식이 창출돼 농업 최적화가 달성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또 농업은 자동화 가능률이 평균보다 낮아 자동화를 통한 일자리 위협은 상대적으로 없어 인력수요는 계속적으로 발생될 것이라 주장했다.

 

특히 클라우드 생태계를 이용 스마트팜 기술업체간 상생 플랫폼을 형성해 기업핵심 활동에 집중한다면 기업이 불필요하게 지출되는 예산을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점쳤다.

농촌진흥청 관계자가 '스마트온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관계자가 '스마트온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편 행사장 한켠에는 각 기관 및 협회의 ICT기술을 홍보하기 위한 부스가 설치됐다. 농진청은 흙토람한국형 스마트 온실구조도 등을 설치·운영하며 홍보에 나섰다.

스마트 온실은 스마트 폰이나 컴퓨터로 언제 어디서나 작물의 생육환경을 점검하고, 유지관리 할 수 있는 온실을 말한다. ‘한국형 스마트 온실2016년 개발된 1세대 모델을 시작으로 올해 2세대 모델 개발을 완료했다. 농진청은 3세대 모델 개발 계획까지 수립했으면 2020년까지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날 한국형 스마트 온실을 홍보하던 김진현 농진청 시설원예연구소 연구사는 모든 기술을 농가에서 도입할 필요는 없다면서 실제 농가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만 도입할 수 있어 농가에선 만족도가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형 스마트 온실을 통해 농산업 성장동력화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