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키다리병’ 예방은 이렇게”
“‘벼 키다리병’ 예방은 이렇게”
  • 황보준엽 기자 hbjy@newsfarm.co.kr
  • 승인 2018.04.13 16: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동시, 키다리병 예방 방안 ‘소개’

(한국농업신문=황보준엽 기자)경북도 안동시농업기술센터는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벼 종자 전염병 예방을 위한 올바른 볍씨소독 방법을 소개했다.

벼 키다리병은 해마다 발생해 피해를 주는 병으로 이삭이 팰 때 병원균에 감염된 종자가 1차 전염원이 되는 종자전염병이다. 종자소독을 제대로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제 방법이다.

볍씨소독 기술 개발과 교육, 홍보로 지난해 못자리에서 병 발생이 대폭 감소했으나 일부 농가에서는 여전히 피해를 입고 있다. 볍씨소독 방법은 먼저 소금물가리기를 통해 쭉정이 벼를 골라내면 소독효과를 20%~30% 높일 수 있다.

종자의 까락(까끄라기)을 없앤 뒤 메벼는 물 20L당 소금 4.2, 찰벼는 물 20L당 소금 1.3을 녹인 다음 볍씨를 넣는다. 물에 뜬 볍씨는 골라내고 가라앉은 볍씨를 깨끗한 물에 2~3회 씻은 뒤 말린다.

소금물가리기를 마친 볍씨는 적용 약제별로 희석배수에 맞게 희석한 다음 약액 20L당 볍씨 1030의 온도로 맞춰 48시간 담가두면 된다.

특히 병 발생이 심했던 지역 주변에서 생산한 벼를 종자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30물에 잎이나 뿌리로부터 흡수된 뒤에 체내로 이동해 나가는 성질이 있는 약제를 섞고 종자를 넣어 48시간 적신다. 이후 싹이 트기 시작할 때 다른 약제 1종으로 바꿔 24시간 적시거나 종자에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가루형태의 약제를 묻혀 처리한 뒤 바로 파종하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벼 재배 농가에서 온탕침지로 소독할 때는 60의 물 300L당 볍씨 3010분 동안 담근 후 찬물에 식혀 발아시키면 약제소독과 비슷한 소독효과를 볼 수 있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종자 소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무엇보다 농가 여건에 알맞은 방법을 택하여 빠짐없이 종자소독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