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내 전문인력 600명 양성...스마트팜 선순환 생태계 마련
5년 내 전문인력 600명 양성...스마트팜 선순환 생태계 마련
  • 유은영 기자 you@newsfarm.co.kr
  • 승인 2018.04.16 14: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5차 경제관계장관회의서 '스마트팜 확산 방안' 발표
확산 거점 '혁신밸리' 조성 연관산업 동반성장 선순환 구축
2022년 7000ha, 5750호로 규모 확대...4300여 일자리 창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감도.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감도.

(한국농업신문=유은영 기자) 정부가 2022년까지 600명 이상의 스마트팜 청년인력을 양성하고 '혁신밸리' 조성을 통해 스마트팜 규모를 7000ha(시설원예), 5750호(축사)로 확대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6일 관계부처와 함께 제5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팜 확산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기존 농가 단위의 스마트팜 보급 전략을 보완, 정책대상을 청년 농업인과 전후방산업으로 확대하고 확산 거점을 조성해 혁신모델을 창출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스마트팜(Smart Farm)은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oT) 등을 통해 수집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육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농장을 의미한다. 정부는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을 개방화, 고령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농업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보고 주목해 왔다.

그러나 기존 스마트팜 확산 정책은 개별 농가 중심의 보급에 집중함에 따라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 인프라 조성에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번 대책은 정책 대상을 청년 농업인과 전후방 산업으로 확대하고, 교육·연구·생산 기능이 집적화된 확산거점을 조성해 혁신모델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기존 정책과 차별화된다.

▶청년인력 보육 프로그램 운영

먼저 청년들이 스마트팜에 도전하고 성장하며 실패해도 재기할 수 있도록 청년 스마트팜 창업 생태계를 구축한다. 2019년부터 청년창업 보육센터 4곳을 지정하고 장기 전문교육과정을 통해 2022년까지 60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기존 교육과정은 기존농가 중심의 단발성에 그쳐 신규 농업인은 선도 농가를 방문해 노하우를 전수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이번에 신설되는 교육과정은 최대 1년 8개월의 장기 교육과정(입문교육 2개월, 교육형 실습 6개월, 경영형 실습 1년)이며, 해외강사 특강과 성적 우수자에 대한 국외연수 기회를 제공해 교육의 질과 효과를 높일 방침이다.

올해는 본 사업에 앞서 전북 농식품인력개발원, 전남대 산학협력단, 경남 농업기술원을 시범 운영기관으로 선정해 60명의 청년 교육생을 선발(3월)하여 4월부터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내년 본 사업부터 교육 인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보육센터를 수료한 청년 농업인이 적정 임대료만 내고도 스마트팜 창업이 가능하도록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을 조성한다.  2019년부터 혁신밸리를 중심으로 2021년까지 약 30ha의 임대형 스마트팜을 조성해 보육센터 수료생 등 청년 창업농에게 우선 제공할 예정이다.

▶생산·교육·연구 기능 집약 '혁신밸리' 조성

혁신밸리는 스마트팜 집적화, 청년창업, 기술혁신(R&D) 등 생산·교육·연구 기능이 집약된 첨단 융복합 클러스터의 개념으로, 2022년까지 전국에 4개소를 조성한다. 전국의 시·도를 대상으로 오는 23일부터 7월 중순까지 공모를 진행하며,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검토한 후 현장평가를 거쳐 7월말에 2개 시·도를 선정한다.

이와 함께 스마트팜 관련 전후방 기업의 실증연구, 제품테스트, 창업·전시·체험 기능을 갖춘 ‘스마트팜 실증단지’를 조성한다.

스마트팜에 필수 요소인 센서, 복합환경제어기 등을 생산하는 기업들은 별도의 실증공간과 시스템 부재로 제품개발과 품질검증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또한 식품·바이오 기업도 원료농산물 수입대체를 위한 실증공간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이에 실증단지는 기업이 직접 시설을 구축하는 자율실증구역, 실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 실증구역, 빅데이터 분석센터, 전시·체험·창업 공간 등으로 구성될 계획이다.

▶전후방 산업 동반성장 견인 '실증단지' 조성

보육센터를 수료한 청년들은, 혁신밸리 내 임대형 스마트팜에 입주하거나, 연관 기업 취업, 스타트업 창업 등을 하게 된다. 이로써 향후 스마트팜 산업을 견인할 청년들이 유입되고, 양질의 일자리가 만들어진다.

스마트팜 실증단지에서 스마트팜 관련 ICT 기업 및 식품· 바이오 기업들은 농업인과 함께 신제품 및 신품목을 실증·테스트하게 된다. 정부·지자체는 부지와 장비 등을 제공하고, 필요한 연구개발 예산을 지원한다.

아울러 혁신밸리 핵심시설 외에도 청년과 기업 등이 정착할 수 있도록 농촌 임대주택을 조성하거나, 문화·복지 서비스 확충 등을 위한 농촌 개발사업도 연계 시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농가 편의 제고를 위해 2020년까지 스마트팜 ICT 기자재의 국가표준 및 국제표준을 마련하고, 올해까지 검·인증 체계 도입을 위한 매뉴얼을 마련한다. 중동, 중앙아시아 등 전략지역에 플랜트 수출을 위해 기업, 연구기관, 공공기관 등이 참여하는 '수출연구사업단'을 2021년까지 운영하는 등 기자재 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이번 대책을 통해 2017년 현재 스마트팜 시설원예 4010ha, 축사 790호는 2022년까지 7000ha, 5750호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연관 산업 성장으로 4300여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600명의 전문인력이 양성될 전망이다.

박순연 농식품부 농산업정책과장은 "혁신거점을 중심으로 정부는 인력양성과 기반조성을, 농업인-기업-연구기관은 협력을 통해 기술혁신과 시장 확대를 도모하게 된다"며 "이를 토대로 농업과 연관 산업에 재투자가 이루어지는 선순환 구조 창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