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모 경상북도 친환경농업과 사무관] “쌀 산업 보호위해 모든 노력 기울일 것”
[백승모 경상북도 친환경농업과 사무관] “쌀 산업 보호위해 모든 노력 기울일 것”
  • 황보준엽 기자 hbjy@newsfarm.co.kr
  • 승인 2018.05.04 11: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산량 조절, 정부·농가에게 모두 필요
볏짚환원사업→지력 회복→ 농가 소득↑

지난해 생산조정제 자발적 참여 농가 1100ha 지원 위해 33억 원 예산 확보

 

백승모 경상북도 친환경농업과 사무관
백승모 경상북도 친환경농업과 사무관

(한국농업신문=황보준엽 기자) “농민들과 자주 만남을 가지며 도의 시책이 농민들을 위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백승모 경북도 친환경농업과 사무관은 지난달 26~27일 ‘2018년 쌀 산업 선도경영체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이 같이 정책 개선의지를 밝혔다. 그를 만나 올해 생산조정제 지원과 새로이 쌀 산업 발전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 등 도의 농정 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생산조정제 현황은.

경북이 배정받은 생산조정제 면적은 총 6595ha로 이중 지난달 25일 기준 61.1%정도가 달성됐다. 농식품부에서 신청자격 완화 이후 신청이 두 배 정도 올랐다.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하지만 생산조정제 신청 자체는 좋은 편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이는 쌀값 상승이 주원인이라고 본다. 쌀값이 계속 오르니 농가에선 생산조정제 참여할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쌀값이 오르는 요인은 정부의 시장격리곡 등 인위적인 조절을 통해 상승한 것이기에 그냥 올랐다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 이에 지금이 생산량 조절이 필요한 적기다.

 

-생산조정제 내년 계획은.

농가에서는 2년만 단기적으로 실시되는 생산조정제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다. 도에서는 쌀 수급조절을 위해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지난 2016년에는 정부보다 먼저 생산조정제를 자체적으로 시행했다. 올해도 정부지원사업에 포함되지 않은 지난해 생산조정제 자발적 참여 농가 1100ha를 지원하기 위해 33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정부가 안하더라도 쌀 수급상황을 고려해 지속적으로 도는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쌀생산조절은 장기적으로 농민에게도 정부에게도 모두 필요한 일이다.

 

-고품질 쌀생산 최대 화두다.

도에선 재배면적이 60%이상 차지할 만큼 ‘일품벼’를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일품벼’는 맛은 좋으나 미관상 우수하지 않다. 이에 미관상 품위도 좋고 맛도 좋은 ‘삼광’ 품종을 장려를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명품쌀재배단지 육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ha당 118만 원(생산농민 64만 원, RPC 54만 원)의 지원금이 책정됐다. 사업 신청을 위해선 단지 당 30ha이상 돼야 한다.

 

-농기계 지원 정책은.

생산조정제를 독려하고 밭농업 기계화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밭작물 전용수확기 등을 농기계 임대사업소에 추가 구입해 배치 중이다. 현재 4개 시·군 4개소에 배치했다. 아직 기계는 모자른 편이다. 이에 6개 시·군에 추가 편성할 예정이다.

일부 농민들이 중소형 농기계 지원사업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다. 지원사업에서 신규 귀농인이 우선되면서 규모화된 농가의 경우 지원을 받기 힘들 수 있기 때문이다. 도에서는 이를 해결하기위해 어느 정도 면적 제한을 두는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새로운 지원 정책이 있는지.

올해부터 수확 후 남은 볏짚을 땅에 돌려주는 ‘논 볏짚환원사업’을 실시한다. 그동안 볏짚은 사료로 사용로 사용되며 논토양을 황폐하게 했다. 농지를 수탈했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사업은 전체 농지의 3%, 약 3000ha에서 추진할 예정이다. ha당 35만 원이 지원된다. 이를 통해 지력이 유지되면 화학비료 사용이 줄어 들 것이다. 이는 곧 경영비 감소로 이어져 농가 소득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PLS’우려가 크다

도는 관계 부서와 보건환경연구원, 농업기술원, 농협지원본부, 작물보호제유통협회 등 관계 기관으로 구성된 T/F팀 구성하고 주기적인 회의를 실시하고 있다.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 대비를 위해 가장 우선돼야 하는 것이 교육·홍보라는 생각이다.

농민들의 인식개선 없이는 어떠한 정책도 소용이 없다. 교육·홍보활동을 강화해 모든 농민이 PLS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