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계협-유통협 ‘유통구조 개선 합의’ 진실공방
양계협-유통협 ‘유통구조 개선 합의’ 진실공방
  • 황보준엽 기자 hbjy@newsfarm.co.kr
  • 승인 2018.07.20 12: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계협 “합의 완료” vs 유통협 “논의조차 안 돼”
후장기 문제 엇갈리는 주장 속 갈등 ‘점입가경’

산란계 농가 수입 생산비에 ‘턱’ 없이 부족해
결제 방식 개인문제…협회에서 다룰 수 ‘없어’

(한국농업신문=황보준엽 기자)(사)대한양계협회(회장 이홍재)와 한국계란유통협회(회장 김낙철)간의 유통구조 개선 합의가 좀처럼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양측은 결제방식에 관한 의견에 극심한 온도차를 보이며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양계협회와 유통협회의 갈등은 후장기·가격 할인 문제로 인해서다. 후장기는 판매 당시의 계란 시세가 아닌 유통상이 지정한 가격을 기준으로 월말에 결제하는 방식이다.
 
양계협회는 월말 결제 시 과도한 가격할인을 농가에 요구해 농가에서는 적자에 허덕인다며 후장기·가격할인 철폐를 오랫동안 주장해오고 있다.
 
유통구조 개선 합의 ‘틀림없어’
이에 따라 협회 간 갈등이 격화되자 양측은 유통구조 개선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를 지난 6일 마련하며 각자의 내심을 털어놓았다.
 
회의 이후 양계협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유통협회와 유통구조 개선에 합의했다고 밝히며 점진적으로 유통협회와의 대화를 통해 유통구조를 개선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양계협회는 유통구조 개선에 있어 다소 진척을 보이며 ‘합의’를 이뤄냈다고 밝혔지만 정작 유통협회는 애초에 합의됐다고 밝힌 내용은 논의 대상이 아니었다며 양계협회의 주장을 전적으로 반박해 진실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1달 단위에서 1주일 단위로 정산하고 계란 가격도 주 2회 발표키로 합의했다”는 문장이다. 이를 두고 양측이 대립각을 세우며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양계협회 관계자는 “합의가 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한달 단위에서 일주일 단위로 정산하기로 했다”며 “갑작스럽게 말을 바꾸는 태도를 이해할 수 없다”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아울러 양계협회 관계자는 유통협회 측이 협회원들의 등쌀에 밀려 그런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협의 후 유통협회 내부적으로 논의해보니 반대가 거세 말을 바꿨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김낙철 계란유통협회장은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김낙철 회장은 “이해할 수 없는 주장”이라며 “애초에 협회 측에서 합의가 불가능한 사안이다. 합의 후 말을 바꿨다는 주장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유통협 “논의된 적 조차 없어”
유통협회는 이러한 상황에 억울함을 표했다. 양계협회의 주장과는 달리 회의에서 논의조차 된 적조차 없는 내용이라는 것이다.
 
김낙철 회장은 “물론 정산 시기 및 가격 발표 횟수를 두고 말이 나왔던 건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정산시기는 협회차원에서 다룰 문제가 아니라고 분명히 선을 그었고 그 후 논의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이어 “계란 가격 주 2회 발표도 동의한 적 없다. 기존처럼 주 1회 발표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자고 말했을 뿐”이라며 “주 2회 발표는 양계협회 측에서 실거래가격 발표를 명목으로 하는 자체적인 가격발표 방식으로 유통협회에서는 관여하지 않기에 그러라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양계협회는 지난 5월 22일부터 실제 가격을 투명하게 공개해 후장기와 할인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전격적으로 계란 가격 조사 방법 변경을 결정하고 난가 실거래 가격을 발표하고 있다.
 
경기도 및 수도권 지역으로 기존 난가위원장이 주도해 가격을 발표하던 것을 10여개 지역 산란계 농가를 대상으로 매주 2차례 조사해 양계속보나 문자메시지를 통해 화, 금요일에 발표하는 방식이다.

양계협 내부적 불만 유통에 돌려

한편 유통협회 측은 양계농가의 생산량 증가에 따른 수급불균형 문제를 양계협회가 해결하지 못하자 책임을 유통협회에 전가하며 내부적인 불만을 다른 방향으로 돌리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김 회장은 “수급량 조절 실패로 인한 결과를 모두 유통업계에 전가하는 상황”이라며 “소비량이 줄고 있는데 생산량은 느니 소비처에서 500판만 필요하다고 해도 농가에선 700판을 가져가 달라고 요청한다. 이에 가격할인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의 ‘산란계 6월 관측’에 따르면 6개월령 이상 산란용 닭 마릿수 증가로 6∼8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보다 20% 내외 증가했다.
 
이에 따라 농경연은 7∼8월 계란 산지가격은 생산량 증가로 전년 1862원보다 50%이상 하락한 750∼900원(특란 10개)대를 형성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양측은 생산량 증가를 두고 각자의 문제가 더욱 해결이 시급함을 주장했다. 양계협회 측은 생산량의 증가로 농가 소득이 떨어지고 있는 가운데 후장기·가격 할인이 성행한다면 농가에겐 큰 타격이 된다며 후장기를 즉각 철폐할 것을 주장했다.
 
실제로 현재 산란계 농가의 사정은 좋지 않다. 통계청의 ‘2017년 축산물생산비 조사결과’에 따르면 계란 100개당 1만1170원의 생산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난달 지역별 계란 평균가격은 특란 100개가 6840원에 불과해 수입이 생산비에 따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통협회 측은 “소비량에 감소세에 비해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니 유통에도 어려움이 있다”며 “이에 유통업자와 개인 농가간 후장기 및 가격할인은 서로의 상황을 공감해 합의가 된 후 시행되는 결제방식”이라고 양계협회의 주장에 반박했다.
 

후장기 철폐 포기 ‘못해’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양측이 유통구조 개선 문제를 두고 쉽게 진척을 보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양계협회는 후장기 철폐에 대한 의지가 확고하다. 양계협회 관계자는 “앞으로도 양계협회는 후장기 등 올바르지 않은 유통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유통협회 또한 결제방식 문제는 논의 사항이 아니라는 의사를 밝히며 협의 가능성을 일축했다. 결제방식은 개인간의 문제이므로 협회차원에서 나서서 정산방식에 변화를 주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은 것이다. 사실상 양측이 합의점을 도출해 내지 못하며 봉합가능성이 닫히게 된 셈이다. 
 
업계 전문가는 이를 두고 “양측의 양보가 조금씩 필요하다”며 “서로의 입장을 굽히지 않으면 양계업계는 계속 어려워 질 수밖에 없다”고 양측의 각성을 촉구했다.
 
대화 창구 닫진 않을 터
양측은 각자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으나 추후 논의 가능성에 대해 여지를 남기기도 했다.
 
양계협회 측은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유통협회와 계속 논의를 해 나갈 의사는 가지고 있다”며 유통협회와의 대화 창구는 열어놓겠다고 말했다.
 
김 회장도 논의 가능성을 열어두며 “양계협회와 유통협회는 한배를 타고 있다. 서로 반목하는 것은 바른 방향이 아니다”라며 “협회는 추후 양계협회와 논의를 계속해 나갈 의향이 있지만 서로간의 신뢰회복이 우선”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