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쌀 정책·소비촉진 운동 진행해야
바람직한 쌀 정책·소비촉진 운동 진행해야
  • 이은용 ley@newsfarm.co.kr
  • 승인 2014.04.02 14: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연간 1인당 쌀 소비량은 67.2kg으로 전년 69.8kg 대비 2.6kg(-3.7%)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쌀 소비량이 가장 많았던 1970년 136.4kg의 49.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특히 평년대비(1.8%) 보다도 감소폭이 커졌다.

아울러 전체 양곡(쌀·기타양곡) 감소량 1.8kg(-2.3%)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왔다. 이를 1인당 1일 쌀 소비량으로 환산해보면 184.0g으로 전년 191.3g 대비 7.3g감소(-3.8%)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밥 한 공기(300kcal)를 쌀 100g으로 가정 시 하루에 밥 두 공기 미만을 소비한다는 의미다.

이런 와중에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10월 쌀 유통업체의 의견을 반영한 ‘양곡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했다. 이 개정안의 핵심은 쌀 등급 5개 등급(1~5등급)을 3개 등급(특, 상, 보통)으로 표시토록 하양 조정했다.

그러나 쌀 품질등급을 ‘미표시’로 존치시켜 실질적으로 등급표시를 강제화 하지 않아 양곡표시제 의미를 퇴색시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원래 이 제도는 지난 2011년 11월에 쌀 품질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표 하에 쌀 포장지에 생산자·생산지 정보 외에 쌀 등급과 단백질 함량을 표시함으로써 밥맛이 좋은 쌀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개정한 바 있다.

특히 권장표시사항이었던 품위(등급)를 의무표시로 전환하고 등급구분도 ‘특·상·보통’ 3단계에서 ‘1~5등급, 미검사’로 세분화해 강화시켰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 1년 여간 시행해 온 제도를 전면 개편해 쌀 ‘등급표시’를 단순화하고 품질표시 의무사항이었던 ‘단백질함량’ 생산자 표시를 의무에서 임의표시 형식으로 바꿔 제도 의미를 퇴색시켰다.

이를 반영하듯 지난 2월 소비자원에 따르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쌀 브랜드 10개 중 7개가 품질등급 표시를 안 하고 있는 것으로 발표해 큰 파장을 일으킨 바 있다.

이처럼 쌀 소비가 계속해서 줄고 있는 원인 중 하나가 정부의 오락가락한 정책과 식습관의 서구화와 예전과 다르게 밥 이외에 먹을거리가 다양해지고 있는 것도 하나의 원인을 뽑고 있다. 특히 쌀에 대한 잘못된 정보도 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런 이유들을 타파하기 위해 정부를 중심으로 관련기관들이 쌀 소비촉진 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우후죽순(아침밥 먹기 운동, 직거래, 주먹밥 나눠 주기 등)의 일회성 행사로 그치고 있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무엇보다 생산자가 참여하는 쌀 소비촉진 행사가 거의 없다는 것이 문제로 나오고 있다. 누구보다 쌀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생산자들이 쌀 소비촉진 행사에 참여해 소비자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이를 고려한 듯 농협과 정부, 소비자, 생산자 등이 참여하는 범정부적 쌀 소비촉진 운동인 ‘2070 프로젝트’가 주목 받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20년까지 쌀 소비량을 70kg대로 유지시키자는 차원에서 지난달 3월에 선포식을 가지고 활동에 들어갔다.

그동안 행사는 우후죽순 난립해져 있었고 일회성 행사로 그치는 경우가 많아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이처럼 장기적인 목표 아래 범정부적인 행사가 지속된다면 효과는 분명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런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정부나 생산자, 소비자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쌀 소비촉진 행사들이 지속적으로 열리는 것이 중요하다. 또 정부는 올바른 방향으로 정책을 세워 추진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