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집중-농협, 농우바이오 인수
시선집중-농협, 농우바이오 인수
  • 이은용 ley@newsfarm.co.kr
  • 승인 2014.04.30 10: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감한 R&D 투자 ‘글로벌 톱 10’ 진입 목표
경영권 인수 MOU…정밀심사 후 7월 마무리

농협이 마침내 국내 종자업계 1위 기업인 (주)농우바이오를 인수하게 됐다. 이번 인수로 인해 국내 종자산업 보호와 향후 미래성장 동력으로서 종자 산업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다.

농협경제지주는 지난달 24일 농협본관 중회의실에서 농우바이오 경영권 인수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체결은 농협 이사회에서 농우바이오 인수를 위한 농협경제지주 출자(안)을 의결함에 따라 이뤄진 것이다.

농협경제지주는 이달까지 정밀 실사 등을 거쳐 늦어도 오는 7월 중 거래를 마무리할 계획을 세웠으며, 정밀실사는 국내 농우바이오 본사를 비롯해 미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 6개 해외법인이 포함된다.

농협은 이번 농우바이오 인수로 농협케미컬(농약)과 남해화학(비료)와 시너지를 창출해 3대 농자재(비료, 농약, 종자)의 안정적인 공급기반을 확보해 농업 생산비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특히 농협 경제지주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수익성 제고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협 관계자는 “농우바이오는 국내 토종 기업으로 기술력과 전문 인력을 두루 갖추고 있는 경쟁력이 넘치는 기업”이라며 “이번 인수가 농협과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면 앞으로 국내를 넘어 수출시장에서도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를 위해 농협은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해 2020년까지 농우바이오를 글로벌 톱 10의 채소 종자회사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농우바이오가 농협과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국내 종자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외국계 기업…종자주권 지켜”

농우바이오의 인수과정은 지난해 8월 설립자인 고 고희선 명예회장의 별세 이후 경영권 매각을 추진했으며, 유족들이 1300억 원에 달하는 상속세를 감당하기 어려워 지분 매각에 나서게 됐다.

농우바이오 지분 매각이 나오자마자 외국계 재무적투자자(사모펀드) 두 곳이 뛰어들면서 종자업계에서는 종자주권 위기론이 팽배해지기 시작했다. 이는 지난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사태 때 국내 종자업계들이 외국계 회사에 팔려 나간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토종기업으로서 굳건히 종자 산업을 지켜온 농우바이오까지 외국계 회사로 넘어 가게 되면 종자주권을 완전히 상실한다는 우려가 커져 갔다.

그래서 농우바이오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협에 인수 제안에 나섰고 농협도 종자산업의 중요성과 미래성장 동력 확보라는 목표 아래 농우바이오 인수에 끼어들게 됐다.

농협은 이처럼 명분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인수과정에 참여해 사모펀드 두 곳을 경쟁에서 물리치고 우선협상대상자가 됐다.

농협 이사회에서는 농우바이오 인수를 위한 농협경제지주 출자(안)을 의결했으며, 지분 매각이 본격화된 지 5개월여 만에 양측의 MOU 체결이 전격 성사됐다.

농협은 이달까지 농우바이오에 대한 정밀실사(해외 포함)를 거쳐 오는 7월 중 잔금을 마무리 짓고 인수 작업을 마칠 예정이다.


“시너지 창출로 경쟁력 확보”

이처럼 농협의 농우바이오 인수에는 많은 의미들이 내포하고 있다. 특히 이번 인수가 국내 종자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평가들이 나오고 있다.

우선 우려의 목소리가 컸던 사모펀드 인수 시 다국적 종자 기업에 재매각 돼 종자주권에 위기가 생길 것에 대한 우려가 불식된 것이다.

또 외국계 기업에 넘어가면 생산비 증가에 따른 농업인 소득감소와 채소가격 상승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는 것.

여기에 기존 농우바이오의 국내 채소종자시장 점유율 23%와 농협종묘의 점유율 4%를 더하면 농협의 전체 채소종자시장 점유율은 27%로 확대돼 몬산토 등 외국계업체들과의 경쟁력 확보와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효과를 본 점이다.

이와 함께 농우바이오는 전문 인력과 연구개발비로 매출액의 15%를 지속적으로 투자해 생명공학 종자관련 기술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선점하고 있다.

농우바이오는 현재 육종연구소를 국내 2곳(경기 여주·경남 밀양)과 중국·인도·인도네시아·미얀마·미국 등 해외 7곳을 합쳐 9곳이나 운영하고 있다.

브라질·스페인·러시아 등에는 수출법인 설립도 준비 중이다. 이처럼 농우바이오는 무궁무진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농협의 적극적인 투자가 더해진다면 우수 신품종 개발과 해외수출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농협 관계자는 “종자 산업은 수익성과 성장가능성이 무궁무진하게 많은 산업으로서 이번 인수를 통해 농협과 농우바이오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면 국내 종자 산업은 한 차원 높은 수준으로 올라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골든시드 프로젝트’ 탄력 받나

이 뿐만 아니라 정부가 추진 중인 종자산업 육성도 한층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2021년까지 5000억 원을 투입해 추진 중인 ‘골든 시드 프로젝트’ 사업은 이번 인수를 통해 보다 안정된 기반 위에서 강력히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 10대 종자강국으로 올라서겠다는 정부의 목표 달성에도 상당부분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이번 인수가 국내시장에서 종자가격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협은 비료(남해화학)과 농약(농협케미컬)을 자회사로 두고 있어 이번 인수가 마무리되면 비료·농약·종자 등 3대 농자재를 모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장을 선도해 과도한 가격인상을 견제하는 역할로 농업인들의 소득증대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아울러 농협이 농우바이오와 농협종묘 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종자시장을 선도함에 따라 국산종자의 수입종자 대체도 한층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협 관계자는 “만약 사모펀드로 농우바이오가 넘어갔다면 독과점으로 인해 가격이 올라 농업인과 소비자가 함께 손해를 봤을 것”이라며 “하지만 농협 인수에 따라 시장에서 공정한 가격이 형성돼 농업인과 소비자에게 혜택을 줄 것이고, 양측 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국내 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농우바이오 기존 체계 유지”

하지만 농협의 농우바이오 인수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포화상태인 국내 시장 위주의 경영, 소극적 R&D투자, 전문성 부족 등 다양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농우바이오는 최근 해외진출을 확대해가며 2020년 국내 매출 890억 원, 종자 수출 1억 달러 돌파를 통해 ‘글로벌 톱 10’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전체 매출의 17% 수준에서 연구개발(R&D)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신품종 개발에도 힘써 오고 있다.

그런데 이번 인수 때문에 농우바이오의 경영방침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치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농협 관계자는 “현재 상황에서는 그동안 농우바이오에서 진행되고 있는 시스템대로 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며 “농협이 인수했다고 당장 변하는 것은 없을 것이고, 특히 수출 시장 확대와 R&D투자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인수를 계기로 국내 종자 산업은 새로운 도약을 위한 토대를 갖추게 될 것이고, 국내시장을 넘어 세계시장에서도 국산종자가 경쟁력을 갖추고 뻗어나갈 수 있도록 전략을 짜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종자판매상, 생존권 우려 표명

한편 (사)한국종자판매협회와 (사)작물보호제판매협회는 최근 성명서에서 시판 경쟁상대인 농협으로의 매각결정은 전국 종자판매상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농우바이오 매각을 반대하는 협회 회원 1300여명의 연명서를 정용동 농우바이오 대표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종자판매협회 등의 농우바이오 매각 반대는 농협케미컬 사례에서 보았듯 농협이 결과적으로 종자유통시장까지 장악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에 나온 결과다. 실제 농협케미컬이 농협에 인수된 후 10년 만에 농협이 농약시장의 60% 가량을 점유하고 있다.

이와 관련 농협 관계자는 “현재 종자 유통구조가 대리점 체제가 적합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어 기존의 방식대로 유지할 방침이며, 농우바이오가 기존에 가지고 시행했던 방식을 최대한 줄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