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길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이사장]한국 농기계 새로운 도약 ‘필리핀·대북 협력’
[김신길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이사장]한국 농기계 새로운 도약 ‘필리핀·대북 협력’
  • 이도현 기자 dhlee@newsfarm.co.kr
  • 승인 2018.12.06 07: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필리핀 한국농기계 공단 조성·지원 계획
북한 경제특구…농기계 거점 확보 노력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은 지난달 29~30일 부산파라다이스호텔에서 ‘2018농기계포럼’을 진행했다. 사진은 특강중인 김신길 이사장.

(한국농업신문=이도현 기자)“국내 농기계 경제 영토를 넓혀야 할 시기다. 170조원의 세계 시장으로 뻗어나가야 한다. 새로운 도전, 새로운 시장, 나가자 세계로” 김신길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지난달 29~30일 부산파라다이스호텔에서 진행된 ‘2018농기계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새로운 도전이라는 특강을 통해 농기계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또 향후 이루고자 하는 포부를 설명했다. 

김 이사장은 “한국은 6.25 이후 원시농업국가였다. 하지만 농기계 산업이 들어오며 단기간 식량 자급을 이뤄냈다. 이런 기쁨도 잠시뿐였다. 산업화와 도시화로 농업 규모가 축소되며 동시에 농기계 내수 시장도 한계에 부딪혔다”고 말했다.

170조 세계 시장으로 경제 영토↑
국내 농기계산업은 내수시장의 포화로 인해 2조원 안팎으로 시장이 정체돼 있어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성장하고 있는 세계 농기계 시장 진출과 북한 농업경제협력 등의 대안이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는 “우리는 이대로 주저 앉을 수 없다. 우리 경제 영토 활동무대를 넓혀야 할 시기”라며 “170조원의 세계 농기계 시장으로 가야 한다. 특히 아시아 농기계 시장은 매년 급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그동안 축적한 기술력은 충분하다. 하지만 정보·자금의 부족으로 독자적인 해외 진출에 어려움이 있다”며 “조합에서 앞장서 길을 닦을 것이다. 이에 시장조사, 법률 문제 등 해외시장 진출에 걸림돌이 되던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해외 진출 첫단계 ‘필리핀’ 시장
김 이사장은 세계 진출을 위한 첫 번째 단계로 필리핀 농기계 시장 진출을 시사했다. 해외 현지에 공단을 조성하고 다양한 인프라를 확보해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는 “해외 시장을 진출에 필리핀이 그 첫 단계가 될 것이다. 필리핀은 농기계 전용 공단을 검토중이며 우리는 이 곳에 한국농기계전용공단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라며 “부품 조립부터 시작해 2~3년 동안 인프라를 확대한다면 새로운 거점기지가 확보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우리는 농기계 전용공단 확보, 세금 혜택 협상, 농기계 수요자 금융유치, 현지 전문 변호사, 회계사 채용, 코트라 인프라 활용 확대 등을 통해 목적을 이룰 것”이라며 “조합에서 이러한 업무를 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해외 현지에서도 한국만큼 생산·판매가 순조롭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신길 이사장은 필리핀 농기계 전용공단에 ▲시범 농장 ▲전시장 ▲보육센터 ▲R&D센터 ▲공동지원센터 등을 설립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공동지원센터는 필리핀 농무관, 수출입은행 팀장, 삼성물산 출신 현지 전문가, 코피아 등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북한 경제특구 중·일에 뺏겨선 ‘안돼’
김 이사장은 다른 하나의 가능성으로 대북 농업경제협력을 보고 있다. 북한의 식량 부족과 빈곤을 해결하며 농기계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로 보고 있다. 더불어 인접한 중국과 일본 등 외세에 시장을 뺏앗기지 않기 위한 선구적인 노력의 필요성도 제시했다.
그는 “우리는 다른 하나의 가능성을 대북농기자재 협력으로 보고 있다. 북한인구의 41% 1200만명이 지속적인 식량·영양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며 “북한은 경제성장을 위해 전략적 경제특구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경제특구 중 나선경제특구 등 농업과 관련된 곳에 농기계 공단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중국 등 타국가에서 선점하기 위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어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이에 조합에서는 대북농업경제협력과 관련해 토론회, 세미나, 좌담회 등을 7차례 추진했으며 관련 TF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