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10 가구중 6가구 만족  
귀농·귀촌 10 가구중 6가구 만족  
  • 이도현 기자 dhlee@newsfarm.co.kr
  • 승인 2019.03.14 03: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주지 문화·체육서비스 부족해
귀농 준비에 평균 27.5개월 소요
귀농 교육 미경험자 보다 소득↑
귀농 5년차의 평균소득 3898만원…농가 평균소득 3824만원 상회
귀농·귀촌 교육 효과 나타남…귀농·귀촌 교육·컨설팅 지원 강화 시사

(한국농업신문=이도현 기자)귀농·귀촌에 10가구중 6가구가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육을 받은 농가의 경우 농업 소득이 훨씬 높아 교육과 컨설팅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거주지에 문화체육 서비스 확충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는 지난 12일 귀농·귀촌가구를 대상으로 귀농·귀촌 유형, 귀농·귀촌 이유, 소득, 주거형태, 경영여건, 지역융화 등을 포함하는 귀농·귀촌 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갤럽이 최근 5년간(2013~2017년) 귀농·귀촌한 2507가구(귀농 1257, 귀촌 1250)를 대상으로 직접 방문 조사했다. 

귀농·귀촌 이유를 조사한 결과 자연환경, 정서적 여유, 농업의 비전 등으로 나타났다. 또 귀농·귀촌 10가구중 6가구(귀농 60.5%, 귀촌 63.8%)가 귀농·귀촌 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했으며 3가구(32.5%, 33.0%)는 보통, 1가구(7.0%, 3.2%)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족 이유로는 귀농은 자금부족(30.0%), 영농기술·경험부족(23.7%) 순으로 높았고 귀촌은 영농기술·경험부족(53.0%), 자금부족(29.1%) 순으로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귀농 준비기간은 평균적으로 27.5개월로 나타났으며 귀농 1년차 평균 소득은 2319만원에서 5년차에 이르러 3898만원까지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귀농 5년차의 평균소득(3898만원)은 농가 평균소득(3824만원)을 넘어섰다.

주로 재배하는 작목은 과수(23.2%), 노지채소(19.2), 시설채소(14.9), 논벼(14.3), 특작·약용(9.8), 서류(6.1), 두류(4.4), 축산(2.5), 맥류(1.7), 화훼(1.7) 순으로 조사됐다.

귀농 가구의 43.1%가 농업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외의 경제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귀촌 가구의 87.2%가 직장 취업, 자영업, 농업 등으로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 평균 생활비는 귀농가구 196만원, 귀촌가구 213만원이며 주로 식비, 주거·광열·수도·전기세, 교육비 순으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귀농가구의 66.7%, 귀촌가구의 27.8%가 온-오프라인, 선도농가 인턴쉽 등 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5년차가 된 2012년 귀농자를 분석한 결과, 오프라인 귀농 교육 경험자의 귀농 첫 해와 5년차 농업소득 증가폭(1523만원)이 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귀농인(685만원)보다 훨씬 높게 조사돼 귀농 교육이 농업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인들은 거주지에 확충돼야 하는 공공서비스로 문화·체육서비스를 가장 많이 꼽았고, 취약계층 일자리, 임신·출산·양육지원, 노인돌봄서비스 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귀촌인의 농업소득 향상 및 지역 적응 등에 귀농·귀촌 교육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귀농·귀촌 교육과 컨설팅 지원이 강화될 필요성이 큼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귀농·귀촌인들의 귀농·귀촌전 직업경력과 다양한 기술·자격정보 등을 활용한 지역일자리(새일센터,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등) 및 창업지원(귀촌인 농산업 창업지원 등)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심층분석해 귀농·귀촌인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보완 방안을 검토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귀농·귀촌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귀농·귀촌 인구가 2017년 기준으로 50만을 넘어서는 등 귀농·귀촌이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귀농·귀촌 실태의 면밀한 파악을 위해 유의미한 데이터가 축적될 수 있도록 실태조사를 지속 실시할 것”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귀농·귀촌인이 농촌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정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