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류농약 부적합 업체가 계속 납품...서울시 어린이집 급식사업 곳곳 허점
잔류농약 부적합 업체가 계속 납품...서울시 어린이집 급식사업 곳곳 허점
  • 유은영 기자 you@newsfarm.co.kr
  • 승인 2019.04.19 01: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소양 시의원, 학교급식과 대비 안전성 취약 지적

(한국농업신문=유은영 기자) 어린이집에 납품되는 급식 식자재의 잔류농약 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업체가 납품을 계속해온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일고 있다.  

김소양 서울시의원(자유한국당, 비례)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강동구 공공급식센터의 경우 샘플 검사에서 지난해 4건과 올해 1건 등 총 5건이 잔류농약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 가운데 A생산지센터의 경우, 지난해 7월, 11월 부적합 판정을 받은 이후에도 올해까지 식재료를 계속 공급하고 있고, 올해 1월에도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드러나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적합 판정이 1건이라도 나오면 해당 식재료를 전량 폐기하고 3건 이상이면 생산자 유통을 금지하는 학교급식과 대비되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어린이집 공공급식의 질을 높이겠다며 ‘도농상생급식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친환경 식재료를 생산지에서 직송해 국공립 어린이집에 제공하는 것으로 현재 9개 자치구가 지방자치단체와 MOU를 맺는 형식으로 참여하고 있다.

도농상생급식을 실시 중인 9개 자치구와 올해 사업 시행을 앞둔 중랑구 등 10개 자치구가 지난해 집행한 예산은 약 41억원이다. 이 중 식재료비에 직접적으로 쓰인 차액보육료 지원금은 약 18억원으로 나머지 약 23억원은 인건비 등 자치구별 공공급식센터 운영비로 쓰였다.

시는 사업 참여 자치구를 올해 13개까지 늘리고 2022년까지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올해 이 사업을 위해 책정한 예산은 13개 자치구와 서울시 자체예산을 합쳐 약 108억원이다.

질 좋은 식재료를 공급하겠다는 취지대로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데도 식재료 잔류농약검사, 운반 관리 등 곳곳에 허점이 드러나 어린이집 공공급식의 안전성 우려가 높아질 전망이다.

김소양 의원은 "식자재 전 품목에 대해 시 차원에서 잔류농약 검사를 하는 학교급식과 달리 어린이집에 제공되는 급식 재료는 몇 개 품목만 샘플검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어린이집 급식의 경우 한달 평균 3회, 약 15~20건 정도만이 샘플 검사 형태로 잔류농약을 검사하고 있다. 더욱이 도농급식사업 참여 9개 자치구 가운데 지난해 서울친환경유통센터를 통해 샘플 검사를 실시한 자치구는 6개 자치구뿐으로 나머지 3개는 샘플 검사조차 실시하지 않았다.

시는 지난 2014년 친환경 무상급식 식재료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어 감사원의 지적을 받는 등 농약급식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이에 ‘서울시 친환경유통센터’를 통해 생산지 검사와 전품목 검사를 직접 실시하는 등 안전성 검사를 철저하게 실시해 오고 있다.

하지만 학교급식만 철저히 관리되고 있을뿐 어린이집 급식사업에선 허점이 곳곳에 드러났다.

자치구별 공공급식센터의 식재료 운반차량에 대한 관리도 허술함이 드러나 식품위생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현재 각 공공급식센터는 축산물과 수산물을 모두 식재료로 취급한다. 김 의원이 이들 센터의 영업허가 내용을 살펴본 결과 모두 축산물운반업 허가는 받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올해 2월 강동구 공공급식센터 현장실사에서 센터가 운영하는 식재료 운반차량이 냉동시설을 별도로 갖추지 않고 운반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의원은 "서울시는 박원순 시장이 직접 위원장을 맡은 ‘서울시 먹거리시민위원회’를 구성해 산하에 도농상생급식분과를 두고 급식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라며 "시행 초기부터 잔류농약 검사 시스템의 허점 등 식품 위생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 만큼 어떤 보완대책을 갖고 시행을 확대해 나갈지 의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