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라리 난장논쟁이라도…육계협회·양계협회 소통 ‘단절’
차라리 난장논쟁이라도…육계협회·양계협회 소통 ‘단절’
  • 박우경 기자 wkpark@newsfarm.co.kr
  • 승인 2019.05.15 1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닭고기 자조금 무력화 가속
정기적·주기적 대화의 장 필요

(한국농업신문=박우경 기자)육계협회와 양계협회의 대립으로 닭고기자조금관리위원회가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닭고기자조금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자조금 거출률은 13%대로 하락했다. 사실상 거출이 침체된 상황이다. 하지만 닭고기자조금관리위원회에서 대의원회를 구성하고 있는 계열사중심의 육계협회와, 농가 중심의 양계협회가 거출율과 사업안을 놓고 대립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다.

육계협회는 닭고기자조금의 거출의 60%를 차지해왔다. 하지만 자조금 납부자와 수혜자가 다른 점을 지적하며, 농가의 무임승차 근절을 선결요건으로 자조금 납부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3월에는 닭고기 의무자조금제 폐지를 요구하고 나섰다.

양계협회는 자조금으로 쓰이는 사업 비중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자조금이 농가교육·방역활동 등 생산자에 비중을 두기보다는, 닭고기 계열사 홍보로 쓰이고 있다는 것.

이 같은 대립에 업계 관계자는 “광고홍보사업은 닭고기 산업 전체 발전을 위한 비용으로, 수요가 늘면 공급을 진행하는 농가도 많은 이익이 되는 부분”이며 “자조금 거출이 정상화되면 광고사업비뿐만 아니라 농가 교육 비중도 커질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문제는 각 협회의 선명한 입장차를 해결할 정기적인 대화의 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4월 육계협회와 양계협회의 대의원이 함께 자리한 대의원회의가 열렸지만, 출석률은 반도 되지 않았다. 또 각 단체가 이견을 조율할 수 있는 관리위원회는 1년에 3.4번뿐이다.

특히 관리위원회에서 양 단체가 소통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사업을 위해 절차적· 형식적인 것으로 치부해버린다는 것이 업계 일각의 설명이다.

이에 닭고기 자조금관리위원회 관계자는 “납부자와 수혜자, 생산자와 계열사 단체를 나눠 ‘누가 많이 내고 적게 냈네’ 하는 것은 소모적인 논쟁에 불과하다”며 “닭고기 산업이라는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소통·화합해야 전체 산업이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