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에 사람이 몰려온다
농촌에 사람이 몰려온다
  • 유은영 기자 you@newsfarm.co.kr
  • 승인 2019.11.12 13: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업농촌의길 2019 심포지엄 개최
최근 농림어업 취업자수 증가세
농업농촌 변화 검증 대응방안 논의

타 산업 고용률 침체하자 일거리 찾아 농업으로

'워라밸' 찾아 탈도시화 문화 확산도 농업 종사자 늘려

생산농업 활성화해야 전후방산업도 활성화

중앙정부-지자체 간 유기적 일자리 생태계 구축해야

(한국농업신문=유은영 기자) “우리 농업농촌에 새 변화를 검증하고 그것을 어떻게 북돋고 살려서 농업농촌의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농업농촌이 변하고 있다. 귀농인구 증가와 함께 2030 청년농이 등장하고 농업취업자가 급증했다. 이런 농업의 변화에 대해 토론하는 장이 12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렸다.

농업농촌의 길 2019 조직위원회(위원장 이정환 GSnJ 인스티튜트 이사장)는 이날 ‘농업·농촌의 뉴 웨이브 르네상스는 올까?’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정환 농업농촌의 길 2019 조직위원장이자 GS&J인스티튜트 이사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정환 농업농촌의 길 2019 조직위원장이자 GS&J인스티튜트 이사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농업농촌이 변화하고 있다는 첫 번째 증거는 농업 종사자의 증가로 나타난다.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농림어업 취업자수는 1970년대 중반 551만4000명에서 계속 줄어 2017년 127만9000명이 됐다”며 “하지만 2017년 중반 이후 농림어업 취업자수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농림어업 취업자수는 2017년 3분기 전년 동기대비 2만1000명 증가한 이후 24개월 연속 2019년 3분기까지 계속 증가했다. 마 위원은 이와 관련 “작년부터 여러 자료를 분석한 결과 5가지 이유를 찾았다”고 운을 뗐다.

우선 비농업부문의 저성장기조가 가장 큰 원인이다. 마 위원이 조사한 자료에서 전체 산업부문의 고용률이 낮아지는 시기와 농림어업 종사자수 느는 시기가 겹치고 있다. 이런 현상은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말, 미국발 금융위기 시기에 두드러졌다.

그 다음 원인은 1960~70년대 선진국에서 볼 수 있었던 탈도시화, 농촌지향 문화의 확산이다. 한국에선 90년대 초부터 40대 이후의 세대들이 비농업에서 농업으로 전환해 귀농귀촌을 하고 있었다.

마 위원은 “베이비부머뿐 아니라 2030 세대에서도 워라벨 추구 성향이 뚜렷하다. 대안적 삶에 대한 요구가 전 세대에 걸쳐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경향은 ‘나는 자연인이다’ ‘삼시세끼’ ‘섬총사’ 등 인기 TV 프로그램에서도 읽을 수 있다.

또 귀촌인 가운데 농업 종사자의 증가가 농림어업 취업자수를 늘린 하나의 원인으로 꼽혔다. 귀농가구는 2011년 1만호를 넘어선 이후 8년째 정체돼 있지만 귀촌가구는 2013년 28만호 이어 2015년 30만호를 넘어섰다. 특히 최근 5년 귀촌한 가구 23.4%가 농업경영체 등록을 하고 있었고 농촌 연차가 쌓일수록 등록 비율이 높아졌다.

마 위원은 “50만호 중에는 도시 인근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 사는 사람도 있으므로 50만호를 모두 농촌으로 이사한 정수로는 볼 수 없다”면서도 “이들 다수가 농업에 종사중이라는 사실이 농식품부와 농정원, 갤럽의 귀촌자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고 말했다.

농업 노동인력구조의 변화도 한 몫 했다. 농가의 농업종사자는 감소했지만 농업법인 종사자수는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농업법인 200곳을 조사한 결과 60% 법인이 취업자수가 늘고 있다고 답한 반면 감소했다는 응답자는 10%였다. 법인 매출 증가와 사업 확대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이 지난 12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농업농촌의 뉴 웨이브 르네상스는 올까’ 주제로 열린 ‘2019 농업농촌의길 심포지엄’에서 농업인력의 증가원인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이 지난 12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농업농촌의 뉴 웨이브 르네상스는 올까’ 주제로 열린 ‘2019 농업농촌의길 심포지엄’에서 농업인력의 증가원인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농업정책에 따른 청년창업농의 증가가 농림어업 종사자수를 늘리는 데 기여했다. 문 정부 들어 40세 미만 청년 창농인 대상 월 100만원의 영농정착지원금 지급과 농업법인체 고용 지원 등이 효과를 본 것으로 풀이된다.

마 위원은 “이 흐름을 잘 이어가려면 일자리란 관점에서 농업농촌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며 “전체 취업자의 18%가 농업관련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농업을 활성화해야 전후방 연관산업도 활성화한다”며 “그런 측면에서 중앙정부와 광역지자체, 기초지자체 간에 유기적인 일자리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생산농업과 관련 지역 농업 육성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지자체마다 향후 몇 년안에 몇 명의 청년인력을 육성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