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 드론, 어디까지 알아봤니?]“드론이 다 해. 소 키울 필요 없어”
[농업용 드론, 어디까지 알아봤니?]“드론이 다 해. 소 키울 필요 없어”
  • 이도현 dhlee@newsfarm.co.kr
  • 승인 2017.05.10 19: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약살포·산림예찰, 병해 관측 등 드론 바람 ‘쌩쌩’
미래농업 상징 ‘마스코트’ vs 가격엔 거품 불만도
친농(親農) 도구인가, 거품 낀 고철인가 의견 분분

농가, 기대 반 의심 반…“앉아서 농약·비료 뿌리니 세상 편하네”
5명 중 1명꼴 ‘다친 경험’…제품 안전기준·저가형 보험 마련해야
농기계 보조금 70% …기관과 업체가 ‘보조금 나눠먹기’ 오명도

(한국농업신문=이도현 기자)최근 농업에 관련된 행사에는 조그마한 비행물체가 어김없이 등장해 하늘을 날아다닌다. 바로 드론이다. 농업에 활용이 기대되는 만큼 ICT융복합과 미래농업을 상징하는 마스코트처럼 관련 행사에 등장해 주위 시선을 끈다.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는 드론만큼 확실한게 없다. 그 만큼 실효성도 있을까. 군사용으로 등장해 이제는 생활과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무궁무진한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드론. 그 기대도 훌쩍 날아가 버릴까 걱정된다. 농업용 드론과 관련된 기술 및 산업이 어디까지 왔고 어떤 개선점이 요구되는지 짚어봤다. -편집자주

◆희망적 시각에서

정부·기관·업체 농업용 드론에 주목

최근 드론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특히 농업에 불어온 ICT융복합과 첨단농업 바람에 가장 잘 어울리는 소재로써 각광 받고 있는 게 사실이다.

영국 시장분석업체 쥬니퍼 리서치는 지난해 판매된 드론 중 46%를 농업용 드론으로 추정했다. 국제무인비행시스템협회도 미래 상업용 드론 시장의 80%가 농업용 드론이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국내 농업용 드론도 지난 2013년 도입 초기부터 농약살포 등 방제에 많이 사용중이며 최근에는 소나무 재선충 모니터링 등 병해충 관측에도 이용이 늘고 있다.

이에 정부를 비롯한 농업기관, 단체, 업체 등은 드론을 농업에 더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 연구 기관을 대표하는 농촌진흥청에서도 농업에 ICT융복합 기술을 접목하겠다고 밝히고 드론을 활용한 다양한 실험을 진행중에 있다.

실제 작물의 작황을 조사하는 용도와 비료, 농약, 영양제의 분사 실험 등 드론활용 기술을 연구하며 농업 현장에도 적용중이다. 농업뿐만 아니라 산림분야를 대표하는 기관인 산림청에서도 병해충 예찰, 관측, 방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고 있으며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도 농업경영체등록 및 직불제 현장점검 등에 드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경농, 동방아그로, 성보화학, 팜한농 등 국내 농약 업체에서도 드론 방제시 노즐 살포에 적합한 약제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과 시연회를 병행하고 있다.

이들 모두 드론이 노동력 절감을 획기적으로 이끌 미래 스마트 농업의 주요 동력원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빅데이터 기술까지 접목한 2세대 스마트 팜 기술, 생체정보와 생육모델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컴퓨터를 통한 분석 등 활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살충·제초제 살포서 종자 파종까지

농업용 드론 활용이 가장 클 것으로 바라보는 분야는 벼이다. 드론이 다양한 농업 작목에 활용되고 있으나 실제 활용도 벼에서 가장 높기 때문이다. 현재 수도작에 살충·제초제 활용이 가장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자의 파종까지도 활용이 되고 있다.

농업용 드론이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은 시간과 노동력 감소에 있다. 기존 살충·제초제를 살포시 노동력과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고 관계자들은 말한다.

일반적으로 3000평 기준 방제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0분 남짓, 종자를 뿌리는데 걸리는 시간은 20분 남짓이며 소요되는 인력도 두 명이면 가능하다. 기존에 몇 시간과 무수한 인력이 동원되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농업관계자들은 주목하고 있다.

박갑수 한국드론농업협동조합이사장은 “농업용 드론의 사용범위가 광범위한데, 현재 활용범주가 점점 늘고 있다”며 “3000평의 농지에 농약, 비료를 살포하는데 3분 남짓 걸렸다”고 농업용 드론이 가지는 효율성에 대해 강조한다.

최근 본격적인 영농기를 맞아 모내기 행사가 전국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이 행사와 함께 드론 농약·비료 시연회가 진행된다. 자리에 참석한 농가들은 농업에 활용되는 드론에 대한 기대와 신기함에 눈길을 빼앗기곤 한다.

지난 4월 실시된 시연회에서 서산의 쌀전업농도 “세상이 편해졌다. 이제 논둑에 앉아 쉽게 농약과 비료를 뿌린다는 것이 놀랍다”며 “시와 농업기술센터에서 구입해 농가에 직접 활용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실제 지자체와 농업기술센터에서도 농가에 활용하기 위한 드론 구입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작황 예찰·관측에서 활약

농업 드론 활용의 가능성을 벼농사에서 찾았다면 실제 드론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분야는 예찰과 관측이다. 특히 산림분야에서 가장 큰 골칫거리로 여겨지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을 예찰하는데 드론이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론을 활용한 예찰 노력 결과 2014년 218만본이던 피해 고사목이 2015년 174만본, 2016년 137만본, 2017년 99만본으로 줄어 들고 있다고 산림청은 밝혔다.

또 농관원도 농업경영체등록 및 직불제 현장점검 등에 드론을 활용하며 점검기간을 65%, 인력을 65% 단축해 44%의 예산을 절감하며 효율을 높이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에서도 농업관측상황실을 개소하면서 정밀하고 정확한 농업 관측을 위해 작물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데 드론을 활용하고 있다.

◆비판적인 시각도

부상 위험 있는데 보험은 없어

농업용 드론을 바라보는 시각이 희망적인 것만은 아니다. 우선 농업용 드론의 활용이 늘어나는 만큼 사고 피해도 늘어나고 있다는 점과 이를 위한 대안이 미비하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꼽힌다.

한국소비자원 조사 결과 드론 이용경험이 있는 국내 소비자 5명 가운데 1명은 드론을 이용하다가 다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는 농업용 드론에 국한된 것은 아니지만 위험성에 대해서는 농가들도 공감하고 있는 사항이다. 한 드론 관련 전문가는 드론의 카본으로 만드는 프로펠러는 강도가 상당해 손가락 등이 절단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다.

실제 드론은 전파 인증과 농업용 드론 인증 말고는 본체와 프로펠러, 베터리, 모터 등 제품규격에 관한 안전기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농업용 드론이 추락하거나 프로펠러 등으로 피해를 보는 농가들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보호할 수 있는 저가형 보험도 없다는 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사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할 경우 드론 수리비는 물론 입은 상해에 대해서도 보호받기가 애매한게 현실이다.

자격증 취득·교육비용도 300만원

드론 사고가 일어나는 원인은 사용자의 부주의와 기기결함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농업용 드론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국토교통부에서 인가한 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하고 초경량비행장치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하지만 고령화된 농가에서 이를 취득하고 능숙하게 조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드론 업계 관계자들은 설명한다.

교육 비용도 300~400만원으로 고가이기도 하다. 현재 국토부에서 인가한 교육기관은 지난 3월 22일 기준 전국 11개로 대부분의 기관이 드론 판매를 함께 하며 판매하는 드론으로만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대해 농업기술센터와 농촌진흥청 등에서 보편적인 농업드론 활용 교육이 지원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또 농업용 드론에서 발생하는 기기결함에 대해 전문가들은 다양한 의견들을 내놓는다. 값싼 송신기를 사용했을 때 전파의 교선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말한다.

무엇보다 농약 등 분무하는 물질에 따라 센서가 방해를 받아 추락하는 경우가 발생할 것이라는 강하게 경고한다.

박석종 (사)한국드론산업협회장은 “농업용 드론에서 분사하는 용액의 콜로이드 크기와 점성도에 따라 기기 후방에 묻어 센서를 교란 시킨다”며 “농약을 인지할 만큼 고성능의 센서가 개발될 때 제대로 된 농업용 드론 산업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500만~8천만원까지 ‘가격 편차’

농업용 드론의 가격은 1500만원에서 8000만원으로 가격 편차가 크다. 비교적 저가는 드론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중국제품이며 고가의 제품의 경우에는 대개 국산 제품이다.

고성능 촬영용 드론의 가격이 800만원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높다고 할수 있다. 이런 가격이 형성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드론 업체 관계자는 국산 부품과 분사 기술, 베터리, 교육 비용 등을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농기계 보조금에 있다. 70%에 달하는 농업 보조금 또는 융자가 지원된다는 사실에 거품이 끼인 것이다.

이런 농기계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에서 실시하는 농기계 검정에 통과해야 한다. 결국 농기계 보조금을 업체와 공공기관이 나눠 먹고 있다는 오명을 받기에 딱 좋은 구도가 형성된 것이다.

드론 연시회에 참석한 충주의 한 농가는 “농업이 편해져 좋긴 하지만 빚을 내가면서 콤바인, 트랙터, 이앙기까지 겨우 장만했는데 이제는 드론까지 사야하는 건가”라며 “값싼 농기계는 호미랑 삽 뿐”이라고 한탄했다.

또 농업용 드론을 선도하는 기업이 대부분 외국 업체이기에 외국의 종속산업을 양성하는 꼴이 되지 않을지 걱정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드론 산업을 주도하는 기업은 중국의 DJI이다. 전세계 드론시장의 70%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현재 품질과 가격 경쟁력에서 국내 제품을 압도하고 있다. 또한 국산제품이라 불리는 드론 대부분 역시 DJI 등 해외 기업의 부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