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업 농가수 해마다 감소
친환경농업 농가수 해마다 감소
  • 유은영 기자 you@newsfarm.co.kr
  • 승인 2018.10.04 11: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결과.분석 중심 인증제도로 농가 행정부담 때문
김종회 의원, 국내 여건 맞는 정책 마련 필요

 

품목별 친환경인증 농산물 농가수              (단위 : 호, %)
품목별 친환경인증 농산물 농가수 (단위 : 호, %)

(한국농업신문=유은영 기자) 문재인 정부가 핵심 국정과제로 친환경농업 육성을 제시했지만, 정작 친환경 농업 실천 농가수는 해마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종회 의원(민주평화당, 전북 김제·부안)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친환경인증 농산물 농가수> 현황을 보면, 2014년 25만호에 이르렀던 친환경인증 농가가 2017년에는 19만호로 24% 감소했다.

문재인 정부는 환경친화형 농축산업으로 전환을 위해 친환경농업의 생산.유통기반 확충 및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국정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2022년까지 전체 농지면적 대비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을 8%로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마련했다.

하지만 2017년 현재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은 8만114ha로 전체 농지면적 대비 4.9%에 불과한 실정이다.

시도별 친환경 인증농가수를 보면, 대구광역시는 2014년 대비 84% (2431호)에 이르는 농가가 친환경 농업을 그만 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 60% (469호), 경북 59% (22,308호), 대전 46%(109호) 순으로 친환경 농가 감소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광주광역시는 친환경농가수가 84%(567호) 증가했고, 세종 역시 46% (148호) 증가폭을 나타냈다.

품목별 감소현황을 보면, 과실류가 51% (1만8216호)로 크게 감소했고, 고구마 같은 서류는 26% (1974호), 채소류 25% (2만2615호), 곡류 16% (1만5403호)로 뒤를 이었다.

김종회 의원은 "농가는 소득과 판매가격 때문에 친환경농업으로 전환하지만 농업과정에서의 친환경 여부가 아닌 결과와 분석 중심의 인증제도로 친환경농업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과도한 검사, 서류 제출 요구로 농가 행정 비용 부담이 증가해 농가가 중도에 포기한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외국의 친환경 인증 제도를 국내 도입하면서 국내 여건에 적합하게 도입시키려는 정부 노력이 부족했다"며 "성공적인 국정과제 수행을 위해서는 친환경농업 농가의 애로사항을 조사해 농가 행정 부담을 완화하고 국내 농업 상황에 맞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