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친환경농업②-“친환경농업은 우리 사회의 방향성”]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친환경농업②-“친환경농업은 우리 사회의 방향성”]
  • 이은혜 기자 grace-227@newsfarm.co.kr
  • 승인 2020.09.02 1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영재 친환경농업인연합회장
가공품 수요 늘어…소규모 기반 확대·농가 조직화 필요
공공급식·로컬푸드 같은 대안 시장 확대해야

(한국농업신문= 이은혜 기자)

-농특위 사무국장으로 임명돼서 요즘 더 바쁘시겠다.
농업은 개방된 후에 가격 무너져서 사실 계속 어려웠는데, 기후위기 또 올해는 코로나19에 수해까지 겹쳐서 말이 아니다. 이 가운데 어쨌든 농촌의 현실을 개선시키고, 농민에게 희망을 주고 지속가능한 농어업을 만드는 게 농특위 미션인데 참 쉽지 않다. (웃음) 농어업 문제가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이해관계와 현실의 벽을 풀어가는 작업이기도 하다. 하루아침에 성과가 나는 건 더더욱 아니고. 어쨌든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 없어서는 안되는 산업들에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우리의 일이 아닐까 싶다. 다양한 사람들의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가는 과정이 더디더라도, 인내심 가지고 해보려고 한다.

-현재 친환경농업쪽 상황은 어떤지.
일단 지난 집중호우 피해가 컸다. 생산기반이 다 무너져 초토화됐다. 작물은 광합성이 제일 중요한데 햇빛을 못 본 지가 너무 오래됐다. 생육 부진에 병충해까지 겹쳐 침수 안 된 논에서도 붉은 기운이 올라오더라.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결과는 더 참혹하다. 친환경농산물의 소비가 학교급식으로 들어가는게 50%인데 계약이 중단되면서 모든 것이 올스톱됐다. 꾸러미 사업 만들어서 진행하다보니까 꾸러미에 담을 수 있는 품목들(저장성 있는 품목)은 그나마 괜찮은데, 엽채류는 민원 많이 들어와서 안 되니 타격이 컸다. 하지만 이것도 일시적인 해결책일뿐이다. 포스트코로나시대를 준비하는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 아직 현실화되지 않았지만,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친환경농업의 생산 기반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갈수록 가공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친환경농업은 가공 쪽이 약하다. 이걸 어떻게 활성화할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 가공을 발전시켜야 원물 소비 또한 잘될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친환경농업은 어떻게 될까.
살아남아야지. 코로나19가 지질시대 변환점을 일으키고 있다고 할 정도로 많은 것을 바꾸고 있다. 하지만 사실 이것도 기후위기, 인간의 무제한적 개발행위, 생태환경이 파괴된 거에서 기인한다. 지금까지는 우리 사회가 성장, 개발 이런 것들을 지향해왔지만 이제는 생태환경, 삶의 질 이런 것이 중요한 과제지 않은가. 사회적 불균형이 심화되는 이 때, 공생할 수 있고 미래 지향적이고 생태환경을 지속 가능케 하는 방식으로 생태계를 복원시켜야한다. 친환경농업도 인증자를 육성하고 관리하는 방식으로, 전체적으로는 모든 농업이 친환경적인 농업으로 전환해야 한다. 나도 인증자 대표로 있지만 이제는 인증농업인 소수를 위한 친환경정책을 탈피해야한다. 지난해 발표된 유럽 그린딜 같은 경우도, 2030년 목표 달성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고 확실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세웠다. 우리도 환경오염국가의 오명을 벗기 위해서 농자재 쓰레기 줄일 수 있는 방안 등 투입 중심 농업에서 자연순환형 농업으로 갈 수 있도록 하는 것들을 고민해야 할 시기가 왔다. 사실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본다. 코로나19 이후 친환경농업은 우리 사회의 방향성과도 같기 때문에 분명히 비전이 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앞에서도 말했지만, 가공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과수 쪽은 재배도 힘들지만 재배는 친환경으로 하고 상품 기준은 관행으로 적용을 하다 보니 소비 확대가 안 된다. 현재는 비 상품화된 것들만 가공하고 있는데, 이것마저 사실 기업들의 전유물이라 농가들이 들어갈 틈이 없다. 소규모 가공 기반 확대가 필요하다. 농가들 또한 조직화해야 한다. 가공 품목에 따라 시군단위, 광역단위, 전국단위로 나눠야 한다. 전국에 생산자 사업 조직들이 있어야 하는데, 지금 진행 중이다. 도별로 광역 조직은 계속 띄워왔고, 확대해서 전국단위 조직 만들 것이다. 그렇게 해서 대형매장 판로 확보하고, 규모화해서 가공 문제들 해결하려고 한다. 

-농가가 가장 희망하는 대책은.
단순하다. 열심히 농사 지은 걸 제대로 가격 받고 파는 것. 땀의 대가를 보장받는 것, 그 뿐이다. 그걸 보장해주는 방식이 시장에서 나오는 데, 시장 개방 때문에 한계점이 있으니까 시장 외적 기능을 농업 정책으로 끌어와서 보상해달라. 그게 바로 직불제 제도다. 친환경농업에 대한 직불제 확대와 구체적 대책이 필요하다. 가격 등락 폭을 줄일 수 있는 정부의 수급 조절 정책도 마찬가지고. 친환경농업은 일반 시장에서는 가치를 인정받기 쉽지 않다. 공공급식이나 로컬푸드 같은 대안시장을 확대하는 것이 곧 친환경농산물 유통 확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