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정주여건·다원적 가치 살리는 정책 필요
농촌 정주여건·다원적 가치 살리는 정책 필요
  • 연승우 기자 dust8863@newsfarm.co.kr
  • 승인 2020.09.07 15: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경연, 농어촌 마을 발전 방향 연구 통해 밝혀

(한국농업신문= 연승우 기자) 최근 농어촌에는 귀농귀촌 등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마을과 함께 여전히 인구가 감소하면서 공동화가 심각해지는 마을로 나뉘고 있다. 따라서 마을 사업을 지방으로 이양한 후에도 농어촌의 필수 정주기반 유지와 다원적 가치를 살리는 데 초점을 둔 농어촌마을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내용은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홍상)이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 연구를 통해 밝혔다.

연구진은 농어촌 마을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마을 변화를 인구, 기능, 조직,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인구 측면에서는 마을의 지리적인 입지와 경제활동 여건에 따라 마을별로 인구 분화가 두드러졌다.

지속적으로 인구 유출을 겪던 원격 농어촌 마을 중에서도 귀농‧귀촌인 유입으로 과소화 추세를 벗어나는 마을이 늘어났다. 반면 전통적으로 농업에 기반을 둔 상당수 마을은 공동화 현상이 계속 심화되고 있다.

농촌지역 경로당

마을 기능 측면에서는 전통적인 농업생산 기능은 축소되는 반면, 도시민 대상 주거 기능이 강화되고 면 단위 소생활권 중심지 기능 또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측면에서는 전통적 공동체 조직들은 대부분 약화되고, 작목반이나 영농조합과 같은 경제적 이해관계에 기초한 경제조직들이 주로 활성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는 난개발 확산으로 농어촌 마을의 경관과 어메니티 수준이 저하되었으며, 향후 마을 내 빈집 문제는 현재보다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진은 농어촌 마을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으로 우선 필수적 정주기반을 갖추면서 다원적 가치를 살리도록 농어촌 마을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하드웨어 사업은 그동안 역점을 두지 않았던 주거환경 정비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주민 구성 다변화 등 최근 공동체 여건을 반영하여 마을 단위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공동체 활동 육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실제 활동 가능한 주민들의 경제사회 조직이 중심이 되어 활동을 추진하도록 지원해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