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지속 발생…‘구멍 뚫린 방역’
AI 지속 발생…‘구멍 뚫린 방역’
  • 이은혜 기자 grace-227@newsfarm.co.kr
  • 승인 2020.12.10 18: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리협회, 향후 피해 보상대책 마련 촉구

(한국농업신문= 이은혜 기자) 최근 전국 곳곳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AI 항원이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다. 지난달 26일에는 3년여 만에 전북 정읍의 육용 오리 농장에서 H5N8형 고병원성 AI가 발생했고, 지난 1일과 2일 경북 상주에서도 잇따라 같은 유형의 AI가 발생했다. 세 번째로, 지난 5일에는 전남 영암군 육용 오리 농장에서도 확진되면서 그야말로 전국적 초비상 상황이다.

이에, 전남도 방역 당국은 해당 농장 출입을 전면 통제하고, 사육 중인 오리 9800마리와 반경 3㎞ 이내 농장 10곳의 닭·오리 49만3000마리를 예방 차원에서 살처분에 들어갔다. 방역지역 내 영암·나주·무안 등 대규모 오리 사육지 3개 시군에는 이동통제 초소 26개를 설치했다.

앞서 경북 상주에서도 닭 18만8000마리가 살처분됐으며, 반경 3km 이내 농장 가금류도 예방 차원에서 살처분하기로 했다. 처음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정읍에서는 가금류 48만7000마리를 전량 살처분하고 부화장 오리 종란 40만개를 폐기했다.

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장관, 이하 ‘중수본’)는 즉시 발생 농장에 초동대응팀을 현장에 급파해 출입통제·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일제 소독·방역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중수본은 ▲농장 내 바이러스 유입 방지 ▲농장 간 수평 전파 차단 ▲전국 오염원 제거에 역점을 두고 방역대책을 지속 추진한다고 밝혔다. 먼저 ‘전국 가금농장 전담관제’를 도입해 개별 농장에서 바이러스 유입 방지조치를 철저히 이행토록 하고, 농장 간 수평 전파의 원인이 되는 취약요인을 지속 점검·보완한다. 또한, 철새도래지, 농장 인근 작은 하천·저수지, 농장 진입로까지 오염원 제거를 위한 일제 소독(소독장비 총 1020여대)을 지속 실시해 강력해진 방역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중수본 관계자는 “올해 해외 고병원성 AI 발생(36개국 965건) 급증과 국내 농장 발생(3건) 및 야생조류 검출(총 41건, 고병원성 15건) 상황, 그리고 내년 1월까지 철새 유입 증가 등을 고려할 때, 연일 매우 엄중한 방역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전국 가금 농가는 최고 수준의 경각심을 가지고 생석회 도포, 장화 갈아신기 등 정부가 강조하는 기본적인 방역 조치를 반드시 실천으로 옮겨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한국오리협회(회장 김만섭)에 따르면 오리의 경우 AI 예방을 위한 정부 방역 조치의 일환으로 2017년 겨울철부터 매년 4년째 전국의 30%에 해당하는 오리 농가가 사육제한에 참여하고 있다. 오리는 AI가 발생할 경우 SOP에 따른 강화된 방역 조치, 오리고기 소비감소 등에 따라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축종이다. 이에 협회는 ‘내 농장은 내가 지킨다’는 철저한 사명감으로 그 어느 때보다 철저한 차단 방역이 중요시되는 시기임을 강조하고 나섰다.

김만섭 회장은 전국의 오리농가들에게 “더 이상 오리 농장에서의 AI 추가 발생이 없도록 농장 단위 기본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달라”고 주문했다. 또한, AI가 검출된 방역지역 내 오리 농가를 대상으로 일일 전화 예찰과 문자메시지 등을 지속적으로 발송하고 있다고 말했다.

협회 관계자는 “아무래도 전국적으로 철새의 이동이 활발하기 때문에 야생조류에서 계속 나오는 상황”이라며 “이동제한 조치 확대 및 일시이동중지 명령 등에 따라 오리의 입식 지연과 부화장의 새끼오리 폐기 등 피해도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예방이나 효율적 방역 조치도 좋지만, 농가 입장에서는 추후 보상도 중요한 문제다. 정부의 대책이 보상보다는 규제로만 나오는 것 같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아울러 “정부와 지자체가 시행하는 방역 조치에 따라 발생하는 피해에 대해서는 반드시 정당한 보상대책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하며 농식품부의 책임감 있는 자세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