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살처분 최소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사설] 살처분 최소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 연승우 기자 dust8863@newsfarm.co.kr
  • 승인 2021.01.06 08: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농업신문 사설) AI가 강원도를 제외한 전국을 휩쓸고 있다. 지난해 11월 26일 정읍 육용오리농장에서 처음 발생한 뒤 40여일만에 43개의 농장에서 AI가 확진됐다. 이에 따라 오리 136만 수, 산란계 544만4000 수, 육계 406만7000수, 토종닭 36만4000수, 기타 174만2000 수 등 총 1339만2000 수의 가금류가 살처분됐다.

이런 상황에서도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축방역에 대해 자화자찬 일색이다. 새해를 맞이해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발표한 신년사에 악조건 속에서도 가축질병 확산을 최소화했다고 밝혔다. 신년사에서 김현수 장관은 지난해 아프리카돼지열병 2건이 재발했지만, 이틀 만에 확산을 차단했고 세계적인 발생 추세를 볼 때 조류인플루엔자는 아직도 엄중한 상황이라며 ‘오염원 격리, 매개체 소독, 농장단위 방역‘의 3중 방역체계를 구축하고, 철저한 사전예방과 신속한 초기대응,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해 가능한 모든 자원을 총력 동원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1월 5일 기준으로 계속 고병원성 AI 의심 사례 신고가 들어오고 있고 40여일만에 1300만 마리의 닭과 오리 등이 살처분되고 있고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외국과 달리 좁은 국토 면적을 갖고 있어 가축사육 농장이 밀집돼 있다. 지난해 12월 발생 초기 기준으로 총 400만 마리의 닭과 오리, 메추리가 살처분 됐다. 숫자가 중요한 건 살처분 수가 많아서가 아니다.

닭을 보면 반경 3km 이내에 적게는 19만 마리가 많게는 58만 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호당 평균을 내보면 한농가에서 5만9천마리에서 19만마리까지 사육하고 있다.

한국 축산의 문제점은 밀식 사육과 사육지역의 밀집이 결합돼 있다. 단순히 살처분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염 속도가 빠른 이유도 지역의 밀집에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호주나 미국에서 가축질병이 잘 퍼지지 않는 이유가 밀집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살처분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가축전염병을 예방하는 것이 최우선이지만 감염사례가 발견 됐을 때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향후 축산법 개정을 통해 축사와의 거리를 최소 3km 이상 간격을 두도록 허가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당장에는 시행이 어렵겠지만 가축사육이 밀집화되지 않도록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