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의무자조금 설치와 품목단위 거버넌스 체계 구축 시급
[전문가칼럼] 의무자조금 설치와 품목단위 거버넌스 체계 구축 시급
  • 한국농업신문 webmaster@n896.ndsoftnews.com
  • 승인 2021.06.30 16: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응철 자조금통합지원센터장
김응철 자조금통합지원센터장.
김응철 자조금통합지원센터장.

여러 품목에서 가격이 크게 떨어지고 소비 부진 등으로 해당 품목의 시장규모가 축소되어 농업인의 영농기반이 송두리째 위협받는 상황이 해를 거듭하며, 계속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

이러한 문제는 다수의 소규모 경작자들이 생산 및 출하하고 있고 부패하기 쉬우며, 기상여건 등에 따라 생산량이 크게 늘거나 줄어들 수 있다는 농산물의 특성상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매년 반복되고 있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나라와 품목이 있다. 우리는 그러한 나라와 품목에서 어떻게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는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1844년 세계 최초로 영국에서 협동조합이 만들어진 후 농업분야에서도 협동조합이 크게 발전하면서 이러한 문제는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사업에 참여하지 않고 무임승차하는 일부 경작자 등으로 인해 사업에 참여했던 조합원들이 대거 이탈하는 등 협동조합은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1914년 세계 제1차 대전(1914~1918) 발발과 함께 전쟁 기간동안 구매와 수출을 독점하기 위한 품목위원회가 만들어졌고(1914년 호주에서 전쟁 준비법이 제정되었고 1915년 호주밀위원회 구성), 세계 대공항(1929~1939) 이후에는 경작자를 중심으로 가격폭락과 무임승차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위원회가 속속 만들어지면서 비로소 해결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위원회에서는 일반적으로 소비홍보, 연구개발은 물론이고 경작 및 출하 신고, 의무거출금 부과, 시장출하규정 설정, 검사 및 인증, 단일 유통조직 지정 등과 같이, 생산과 유통을 경작자들이 조절하기 위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뉴질랜드 키위위원회(KNZ)이고 단일 유통조직 제스프리이다. 2005년 이후 키위 출하단가가 2배가 되고 농가소득은 4배가 되었다는 측면에서 경작자들이 똘똘 뭉쳐 스스로 지켜야 할 규칙을 만들고 시행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알 수 있게 된다.

경작자들은 유통업자들이 제시하는 가격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일 것인가 아니면, 경작자들이 판매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거래교섭력을 가질 것인가, 제살깎기식 경쟁구조에서 피비린내 나는 가격 경쟁을 벌일 것인가 아니면, 경작자 간 상생협력구조에서 품질과 브랜드로 가치 경쟁력을 키울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답은 명확하다. 품목단위로 의무자조금을 설치하고 해당 품목 경작자 간에 준수해야 하는 규칙을 만들고 시행할 수 있는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고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