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관개 농지면적 2030년 61%까지 확대한다 
간단관개 농지면적 2030년 61%까지 확대한다 
  • 김흥중 기자 funkim92@newsfarm.co.kr
  • 승인 2022.02.23 1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논물관리 등 저탄소 농법 실현으로 탄소중립 실천
관행재배와 다른 재배기술…농가 홍보·교육 필요
자동수문 개폐장치(자동물꼬장치)

(한국농업신문=김흥중 기자) 정부는 계속되는 이상기후 속에서 농업 분야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저탄소 농업구조’로의 전환을 핵심 전략으로 내세웠다. 이 가운데 국내 농경지 대부분을 차지하는 논에서 실천할 수 있는 탄소감축 재배기술이 주요 탄소중립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2470만톤 대비 38% 감축해 나가는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지난해 연말 발표했다. 

특히 체계적인 논물관리로 벼 재배 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을 2018년 630만톤에서 2050년 431만톤까지 감축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는 농업분야 온실가스가 벼 재배 등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한 방침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2주 이상 간단관개를 실시하는 농지면적을 2019년 40.3% 수준에서 2030년 61%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원활한 사업 시행을 위해 매년 시범단지를 조성하고, 지역별 특성에 맞는 논물관리 기술 모델도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용수로 계통도 디지털화, 용수관리 자동화 등으로 체계적인 물관리 기반도 구축할 예정이다.

정부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이 같은 노력에는 농가의 적극적인 참여도 필수적이다. 다만, 기존 관행 농법과 다소 차이가 있는 재배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홍보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내놓은 ‘신기후체제에 따른 농축산식품부문 영향과 대응전략’ 연구 보고서에서 벼 농가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업기술 도입의향을 묻는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90%에 달하는 농가들이 간단관개 등 관련 기술을 도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산성 하락’을 이유로 탄소감축에 필요한 재배기술 도입을 꺼리는 경향도 확인됐다. 응답자의 60% 이상은 ‘기술 도입 시 오히려 수량이 감소할 것 같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이에 벼농사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논물관리기술 등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농가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농경연 관계자는 “기술 도입에 대한 농가들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농가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