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온실가스 줄이는 식량 생산기술, 탄소중립 앞당긴다
[전문가 칼럼] 온실가스 줄이는 식량 생산기술, 탄소중립 앞당긴다
  • 윤종탁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재배생리과 농업연구관 webmaster@n896.ndsoftnews.com
  • 승인 2022.10.18 14: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종탁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재배생리과 농업연구관
윤종탁 국립식량과학원 작물재배생리과 농업연구관

거대한 ‘저탄소’ 물결이 밀려오고 있다. 미국과 EU, 그리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모든 산업부문에 걸쳐 대응에 나서는 중이다. 탄소중립 개념은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 순 배출량을 ‘0’으로 하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다. 2015년 파리협정에서 195개국이 산업혁명 전 대비 온도 상승을 2℃ 이하로 유지하고, 1.5℃까지 억제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세계 각국은 저마다 2030년까지 감축할 온실가스 목표치를 내놓았고, 우리나라 또한 2018년 대비 40% 감축을 제시한 바 있다.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언급할 때 자주 인용되는 사례가 바로 ‘꿀벌의 증발’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60억 마리의 꿀벌이 사라진 것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같은 온실가스가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산업화 이전 280ppm이던 이산화탄소 농도가 현재는 417ppm으로 증가하였고, 농도가 450ppm 이상이 된다면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기후변화를 맞이할 수 있다는 경고에 각국은 생존을 위해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탄소중립에 동참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8년도 기준 726.6백만 CO2 톤에 달하는 온실가스를 배출했다. 1990년과 비교했을 때 149% 증가한 양이다. 전 세계적으로는 중국, 미국, 인도 등에 이어 11번째로 많은 배출량으로, OECD 회원국 중에서는 다섯 번째다. 지난해 12월 정부는 농식품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38%(2018년 기준 2,470만톤 대비) 감축 목표와 함께,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온실가스 발생을 줄이는 농업기술 개발과 현장보급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우리나라 농업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원을 보면 경종 부문과 축산 부문으로 나뉘고 이중 식량 생산을 위한 경종 부문이 전체의 55.5%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은 논 물관리, 토양관리, 질소비료 사용량 감축 등 다양한 저탄소 농업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이를 농업인들이 적용할 수 있도록 현장 보급에도 힘쓰고 있다.

저탄소 논 물관리는 벼 재배기간 중 논에서 물을 빼고 논바닥을 말리는 기간을 2주 이상 지속하고, 이후에는 논물을 2~5cm가량 얕게 걸러대기를 실천하는 것으로, 논물을 가둘 때 토양 내 미생물에 의해 유기탄소 화합물이 혐기분해 과정을 거치며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줄이는 기술이다. 

저탄소 토양관리는 농경지에서 작물을 재배할 때 기존 땅을 뒤집어 주는 경운을 하지 않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으로, 농기계 화석연료 소요량을 줄이는 대신 토양 교란을 방지하여 탄소저장을 높이고, 토양 이화학성 개선에 따른 화학비료 사용 절감을 유도한다.

질소비료 사용량 감축 기술은 토양검정 및 비료사용 처방에 따른 무기질비료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기술로써 아산화질소 발생을 감축하고, 작물 재배시 비료 효과가 조금씩 오랫동안 나타나는 완효성 비료를 사용하여 관행비료 사용보다 질소 유실을 경감시켜 비료 이용 효율을 높임으로써 질소 투입량을 줄여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한다.

이 밖에도 논물 높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물꼬시스템, 써레질 과정을 생략하여 균평 후 담수하여 이앙하는 무써레질 이앙 재배기술을 개발, 향후 보급에 나설 예정이다. 아울러, 화학비료를 적게 주고도 생산성을 유지하며 메탄가스를 적게 방출하는 벼 품종, ‘그린라이스’도 연구 중이다.

앞으로도 국립식량과학원은 온실가스 감축 식량 생산기술이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길 수 있다는 자신감을 기반으로,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농업인은 기술습득을 통해 새로운 영농방식에 적응하고, 이를 통해 생산된 농산물이 기꺼이 소비될 수 있도록 저탄소 식량 생산시스템에 대한 소비자의 공감과 동참이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