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수입과일의 역습] 박철선 한국과수농협연합회장 “수입 과일 유통 질서 투명하고 정확하게”
[기획-수입과일의 역습] 박철선 한국과수농협연합회장 “수입 과일 유통 질서 투명하고 정확하게”
  • 이은혜 기자 grace-227@newsfarm.co.kr
  • 승인 2020.06.03 1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과일 자조금 사업 통한 홍보 필요
소비자의 선택 받는 품종 다양화 실행돼야

(한국농업신문= 이은혜 기자)한국과수농협연합회는 14개 과수 전문 농협이 출자해서 만든 연합회로, 전국 공동 브랜드 육성 사업에 박차를 가하며 대한민국과일산업대전을 개최하는 등 농정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원종확보·보존·바이러스검정 등 과수 우량 묘목 생산 지원사업과 과수 전용 유기복합비료 개발 및 지원 사업 등 공동구매사업으로 농가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박철선 회장은 지난해 12월 연임에 성공하며 제7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요새 과수 상황이 좋지 않은데.
냉해 피해가 심각했다. 결실율이 많이 떨어진 상태인데, 지금도 정상적인 과실보다는 기형과가 많이 열려있다. 배가 사과보다 더 피해가 커서 농가들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정확한 수치는 아니지만 충북도 수확량도 25~30% 정도는 감소하지 않을까. 이달 중순쯤 자세한 수치 나올 것 같다. 전체 매몰 되면 수확량 감소는 불가피하다. 또 과수화상병이 급속도로 번지고 있어서 더 걱정이다.

-실제로 우리나라 과일 재배면적이 줄었나.
재배량이 줄어들거나 과수 구조에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고 도시개발·공동화가 일어나면서 생긴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생각된다. 도시를 개발한다고 해서 과수농가가 큰 폭으로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또 재배하면서 작업 환경 개선하고, 노동력 감소에 따른 대책으로 시설을 현대화하면서 면적이 줄어들 수는 있다. 아무래도 일손이 부족하니 시설 현대화로 대체하는 부분도 있다.

-수입 과일 증가에 대한 연합회 입장은.
수입 과일이 들어오는 것 자체를 막을 수는 없다. 그래서 수입 과일과 국산 과일의 구상무역을 제안하고 싶다. 수입 과일도 들여오고 우리가 수출할 수 있는 건 하자는 거다. 남부지방에서 바나나 같은 열대 작물을 키운들 그것이 과연 농가 소득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까. 3~4개 달려있는 국내산 바나나 1송이와 작지만 8~10개 달려있는 필리핀산 바나나 1송이는 가격부터 벌써 2배가 넘게 차이난다. 생산비도 훨씬 더 들어가고 경쟁에서도 밀릴 수 밖에 없는 국내산 바나나가 과연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을까. 어렵다고 본다. 개방화 시대에 수입 과일을 무작정 막는 게 아니라 국내 과일의 수급 안정 전략을 모색해야 할 때다.

-과일 수급 안정 위해 어떤 전략 필요할까.
2011년에 국내 최초로 사과를 미국에 수출했다. 사과가 남아서 수출 하는게 아니라 우리나라 사과를 알리는 목적으로 시도한 것이다. 꾸준히 하다 보니 국내 수급 조절 효과도 나타나는 것 같다. 수입 과일은 먹기 간편하긴 하지만 맛과 안전성 면에서 국내 과일을 쫓아올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우리 과일의 우수성을 소비자에게 어필해 과수 산업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 경쟁에서 살아남으면 농가 소득 증대되는 건 당연하다. 또 수입 농산물에 대한 유통 경로 체계를 정확하게 확립해 투명한 거래 질서를 세워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품종 다양화의 현실은.
품종 다양화는 이미 다 되어 있다. 배 같은 경우 신고는 만생종이지만 추석 전에도 먹을 수 있게끔 다 개발돼있다. 품목별로 종류는 다양하게 돼 있는데, 시기에 맞는 대표 과일로 만들 기에 자조금 사업이나 홍보 부분이 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현재 조성돼 있는 품목별 의무자조금 사업을 더욱 활성화 해서 국산 과일을 홍보하고 수출에 앞장섰으면 좋겠다.

-정부의 신품종 장려 정책에 대한 농민들의 반응은.
사람은 익숙한 맛에 길들여져 있다. 계절별, 월별로 잘 어울리는 품종이 각각 다른데도 입맛은 이미 먹던 것에 길들여져 있다보니까 쉽게 바뀌지 않는다. 결국 소비자 입맛의 변화가 과일의 성패를 가른다. 소비자들한테 어필이 되어야 생산자도 생산을 하는데, 소비자가 외면하면 생산자가 재배를 할 수 있겠나. 품종 다변화나 개발은 소비자의 선호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정부에 바라는 점.
과수농민으로서 재해보험, 보상 제도가 좀 더 현실에 맞게 보완됐으면 좋겠다. 냉해 피해 같은 경우도 지난해보다 절반 가까운 비율로 감소했다. 예상할 수 없는 기후변화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는데 제도가 뒷받침 되질 않으니 생산량도 피해보고 보상도 제대로 못 받는 실정이다. 현실에 맞는 보험 제도의 개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