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8주년 특집Ⅰ] 쌀가공식품 전성시대②-1 국산 쌀 소비확대 방안, ‘가공용 쌀’ 주목
[창간 8주년 특집Ⅰ] 쌀가공식품 전성시대②-1 국산 쌀 소비확대 방안, ‘가공용 쌀’ 주목
  • 김흥중 기자 funkim92@newsfarm.co.kr
  • 승인 2020.10.28 1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계약재배 비중 작고, 정부 의존 여전히 높아
가공 원료곡 민간조달 확대 필요

(한국농업신문=김흥중 기자) 쌀 소비 감소세가 매년 이어지는 것과 달리 즉석밥, 떡볶이 등 국내 쌀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쌀 소비량은 꾸준히 늘고 있다. 그러나 가공용 쌀 대부분이 정부양곡으로 여전히 정부 의존도가 높고, 민간 공급이 미흡한 상황이다.

최근 5년간 가공용 쌀 소비량 증가

쌀가공식품에 사용되는 가공용 쌀 소비량은 쌀가공산업의 성장과 함께 지난 2013년부터 매년 1.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점차 늘어났다. 총 가공용 쌀 소비량은 2015년 57만5460톤에서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74만4055톤을 기록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표한 쌀가공산업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2017년 주정용을 제외한 총 49만2000톤의 쌀이 가공용으로 사용됐다. 제품군별로는 떡류가 16만9000톤(34%)으로 가장 많았고, 가공밥류 11만4000톤(23%), 음료 등 기타 10만6000톤(22%), 주류 5만7000톤(12%) 순이었다. 

가공용 쌀 계약재배 11.4% 불과

쌀가공산업 성장과 함께 가공용 쌀 소비가 늘고 있지만, 소비량의 절반 이상은 정부양곡(구곡)으로 정부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지난해 소비된 가공용 쌀(주정용 제외)은 총 55만톤으로 이중 약 29만톤(53%)이 정부양곡(구곡)이며, 지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가공용 쌀 총소비량 대비 정부양곡 소비량은 49%에 달한다. 이에 쌀가공산업이 민간 쌀 시장과의 연계가 부족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또한, 가공용 품종의 재배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 반면에 가공용으로 사용되는 국내산 원료는 밥쌀용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어 국산 가공용 원료곡의 안정적인 공급 체계가 미흡하다는 점도 지적된다. 가공용 쌀 품종 재배면적은 지난해 5만3900㏊로 최근 3년간 꾸준하게 증가했으나, 이 면적은 전체 쌀 재배면적(72만9820㏊)의 7.3%일 뿐이다.

이에 가공용 쌀의 민간조달 물량을 확보하고, 국산 가공용 원료의 공급을 늘리는 방안으로 농가와 기업 간 계약재배가 이뤄지고 있지만, 지난 2018년 기준 민간조달 중 계약재배 비중은 11.4%에 불과했다. 국내에서 즉석밥으로 유명한 CJ제일제당의 ‘햇반’ 또한 자회사를 통해 계약재배하는 물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지난해 생산량은 약 5122톤 정도로 전체 민간조달 물량에 비하면 적은 물량이다.

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한 초다수성 가공용 쌀 품종 ‘금강1호(밀양307호)’<br>
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한 초다수성 가공용 쌀 품종 ‘금강1호(밀양307호)’

국산 쌀 소비로 이어져야

가공용 쌀 소비확대가 국산 쌀 소비촉진으로 이어지기 위해선 국내산 가공용 쌀의 안정적인 공급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쌀전업농중앙연합회 관계자는 “가공용 쌀 소비가 늘어나는 추세에 맞춰 전문 생산단지를 조성하고 생산자 소득기반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치 등을 마련해 가공용 쌀에 대한 특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가공용 쌀 확대를 위한 대안은 쌀가공식품 제조를 위한 안정적인 원료 공급 체계를 만들고, 원료의 국산화와 밥쌀 시장의 수급 안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가공용 쌀의 밥쌀용 시장 부정유출 등 생산·유통 과정에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보완 조치가 요구된다.

농식품부는 이에 민간조달 중 계약재배 비중을 현재보다 2배 이상 늘리는 등 민간의 국내산 쌀 자체 조달 능력을 강화해 나가는 한편, 가공용 쌀 재배단지 관리 문제에 대해서도 제재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