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밀 생산 직불금 지급 확대해야"
[인터뷰] "밀 생산 직불금 지급 확대해야"
  • 김흥중 기자 funkim92@newsfarm.co.kr
  • 승인 2022.06.02 10: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손주호 (사)국산밀산업협회 이사장
제2의 주식 ‘밀’ 식량안보 강화 기여
산물수매 확대해 농가 편의성 높여야

(한국농업신문=김흥중 기자) 6월 푸른 들녘을 노랗게 물들인 밀 재배 현장에서 만난 손주호 (사)국산밀산업협회 이사장은 “우리나라 국민 제2의 주식인 밀도 그만큼의 가치를 인정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가 여기서 말한 밀은 수입 밀이 아닌 우리 땅에서 자란 ‘우리 밀’이다. 

영농조합법인 정읍명품귀리사업단의 대표이기도 한 손주호 이사장은 380㏊의 규모화된 밀 생산단지를 운영하면서 정부의 밀산업 육성 정책에 맞춰 생산 일선에서 활약하고 있다. 이곳에서 올해 생산되는 밀 가운데 1124톤은 정부 비축창고로 들어간다. 

손 이사장은 “국산 밀 산업이 더 성장하려면, 밀도 주식인 쌀만큼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쌀과 관련된 직불금과 비슷한 생산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손주호 (사)국산밀산업협회 이사장

-올해 밀 작황은 어떤지.

수확을 10여일 앞둔 지금, 현장에 나가면 아쉬움이 크다. 지난달 내내 비 한 방울 내리지 않는 가뭄으로 이삭이 제대로 여물지 못했기 때문이다. 가뭄과 고온 등 영향으로 올해 수량은 예상보다 20% 이상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월 말까지만 해도 작황이 상당히 좋았고, 이대로 유지된다면 올해 대풍을 기대할 수도 있었다. 정부 수매 전 수요조사에서는 올해 당초 계획된 비축 매입량 1만4000톤보다 6000톤이나 많은 2만톤가량의 물량이 집계되기도 했다. 

추가경정예산으로 수매량이 1만7000톤까지 늘었지만, 지금 작황으로 보면 이 물량도 겨우 채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밀산업 기본계획이 2년차에 접어들었다.

밀산업 육성법이 시행되면서, 정부가 세운 ‘제1차 밀산업 육성 기본계획’에 맞춰 현장의 참여가 점점 늘고 있다. 이에 밀 재배 면적도 2020년부터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다. 확실히 정부 정책에 맞춰 지원되는 점들이 늘어나니 생산 확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정책 목표 달성에는 다소 미흡한 상황인데.

정부의 지원이 확대되면서 농가들의 생산 참여가 늘어난 점은 분명 고무적인 일이다. 다만, 여전히 현장에는 밀 재배에 확신을 갖지 못한 농가들이 있다. 

규모화된 생산단지가 늘고 조성되고 있지만, 아직 개별농가에서는 생산 기반이 열악한 게 사실이다. 이모작 위주로 재배되는 밀은 6월경 수확 후 바로 모내기에 들어가야 하지만, 수확 장비나 건조·보관 시설 등이 부족해 제대로 된 수확 작업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 

수매가격도 문제다. 가격이 6년째 같은 수준인데, 생산비는 해마다 오르고 있으니 정부에서 지원해주더라도 농가들이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밀 산업 육성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책 추진에 있어 농가 소득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농가는 소득이 보장돼야 생산 현장에 뛰어들 수 있다. 적어도 생산비 정도는 보장받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규모화된 생산단지 조성과 함께 산물 수매 방식을 밀 생산 현장에도 도입해야 한다. 현재 산물 방식으로 수매할 수 있는 곳은 전국에 4곳뿐인데, 이를 더 늘려야 한다. 대부분 현장에는 건조·저장시설이 부족해 벼 이모작을 준비하면서 수매에 참여하기 역부족인 농가들이 많다. 산물 수매 방식이 확대된다면, 농가 수매 편의성이 높아져 불필요한 비용, 인력 등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결국 농가소득 향상으로 이어진다.

밀은 제2의 주식일 정도로 우리 식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식량 위기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국내 자급률을 높이는 일은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다. 이에 식량안보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는 차원에서 밀 생산에 대한 직불금 확대 지급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